3.145.164.106
3.145.164.106
close menu
KCI 등재
학교상담 :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최희철 ( Hee Cheol Choi ) , 김옥진 ( Oc Jean Kim ) , 김병석 ( Byeobg Seok Kim ) , 김지현 ( Ji Hyun Kim )
상담학연구 11권 1호 283-301(19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573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일반적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 사이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등패널 자료의 1차, 2차, 3차, 4차,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를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이론과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기초하여 자기존중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대한 세 가지 모형을 비교 검증하였다. 즉, ``자기존중감→학업성취`` 모형, ``학업성취→자기존중감`` 모형, ``자기존중감↔학업성취`` 모형 중 어떤 모형이 자료에 더 적합한지를 비교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에서 고등학생 시기에 이르기까지 학업성취는 이후 시점의 자기존중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자기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학업성취에 관한 교차지연 효과는 유의하지 않거나, 유의하게 예측하더라도 미미하여 ``학업성취→자기존중감`` 모형이 자료에 더 적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자기존중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예방과 처치에서 청소년의 학업성취 향상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general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used the panel data of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wave that were assessed by Korean Adolescents Policy Research Institut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as performed to tes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achievement eral seed subsequent general self-esteem, over and above the effect of eravious general self-esteem. The crosse-lagged effects of general self-esteem o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or weaker more than the cross-lagged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on self-esteem. Thus, a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 might be important in the treatment to increase general self-este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