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36.62
18.219.236.62
close menu
KCI 등재
가족상담 : 여교사의 대학원 재학유무가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Female School Teachers Attending in the Graduate School After Work
이동훈 ( Dong Hun Lee ) , 원지영 ( Ji Young Won ) , 이영순 ( Young Soon Lee )
상담학연구 11권 1호 355-374(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577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교사와 대학원 미 재학 여교사 간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부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여교사의 대학원 재학 유무가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유·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며 자녀가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여교사 중 상담 및 교육학 전공 관련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교사(102명) 와 대학원에 다니지 않는 여교사(98명) 총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교사는 대학원 미 재학 여교사와 비교해 볼 때 양육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으며, 부부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와 부부만족도의 관계에서 대학원 재학 유무에 관계없이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부부만족도가 감소하였다. 양육스트레스가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여교사의 경우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이, 대학원 미 재학 여교사의 경우에는 부모 자신의 문제와 스트레스가 부부만족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연구의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female school teachers who have attended in the graduate programs in universities after work and ones who not. A total of 200 female school teachers who have worked in public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study purposes, statistical methods of M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employed. Compared to non graduate school-attending group, graduate school-attending group displayed less parenting stress and higher marital satisfaction. In both group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know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satisfaction in graduate school-attending group, the sub-factor of ``Children`s punctilious dispositions`` of parenting stress was the predictive variable of lowering marital satisfaction. In non graduate school-attending group, ``Their own problem and stress of parents`` of parenting stress was the predictive variable of lowering marital satisfaction.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