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91.169
3.145.191.169
close menu
KCI 등재
진로상담 : 인지적 정보처리접근 중심 대학생 진로발달 증진 프로그램 개발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for University Students
이형국 ( Hyeong Kuk Lee )
상담학연구 11권 2호 701-720(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596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차 변인 또는 진로-과정 변인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진로-인지 변인을 간과하고 있는 기존대학생 진로발달 증진 프로그램들이 지닌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대학생 진로발달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개발한 12단계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기존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들과 달리 인지, 태도, 행동의 전인적 진로발달 증진을 도모하고자 Peterson과 Sampson 및 Reardon(1991)의 인지적 정보처리접근의 원리를 기초로, 대학생의 진로발달 증진과 함께 그 증진을 방해할 개연성이 높은 역기능적 진로-인지 요소를 탐색하고, 이를 기능적으로 수정하도록 조력함으로써 적절한 정서 및 행동을 형성하여 더욱 효과적인 진로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교프로그램을 선정하여, 경상북도 소재 D대학교 재학생 60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인지적 정보처리접근 중심 대학생 진로발달 증진 프로그램 집단), 비교집단Ⅰ(장기명(2003)의 대학생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 집단), 비교집단Ⅱ(김희수(2001)의 REBT를 적용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집단),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여 프로그램 사전-사후-추후에 진로발달 증진 정도의 평가를 위한 도구로 선정한 진로정체감 척도, 진로결정 척도(고향자, 1992), 진로준비행동 척도(김봉환, 1997) 및 진로-인지의 수정 정도의 평가를 위한 도구로 선정한 대학생용 진로신념 척도(이형국, 2009)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Ⅰ, Ⅱ에서 진로발달 증진 및 진로-인지 수정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실험집단이 비교집단Ⅰ, Ⅱ보다 더 높은 효과와 지속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자들의 이해와 변화를 다각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내담자 만족도 평가, 목표달성도 평가, 그리고 소집단-현장 평가에서도 우수한 결과가 보고되어 경험적으로도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지적 정보처리접근 중심 대학생 진로발달 증진 프로그램이 논리적으로 타당하게 구성된 근거와 경험적으로 타당하게 검증된 근거를 논의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Career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CDP-CIP)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needs, career expert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on the theory of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cognition. The extracted sub-factors were self exploration, job explorati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executio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improvement of career development and dysfunctional career-cognition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total scores of the four scales assessed by Career Identity Inventory(Holland et al., 1980, Kim, 1997), Career Decision Scale(Osipow et al., 1980, Ko, 1992),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ventory(Kim, 1997) and Career Belief Scale(Lee, 200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mparative groupⅠ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belief. The comparative group Ⅱ wasn`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Ⅰand Ⅱ in the levels of overall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comparative groupⅠ wasn`t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career belief. The comparative groupⅡ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career belief.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mparative groupⅠand Ⅱ in the levels of overall career belief and of all sub-factors such as the belief of career belief.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career belief and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levels of career belief.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Career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the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for University students was developed properl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