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69.94
18.226.169.94
close menu
KCI 등재
진로상담 : 전공-직무 일치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직무 만족도 변화 추이
A multi-level analysis on chang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job value and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어윤경 ( Yun Kyung Au )
상담학연구 11권 2호 721-738(18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597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대졸 청년층의 직무 만족도 변화패턴을 추정하고 변화에 대한 전공계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우선 직무 만족도와 직업 가치관, 전공-직무 일치도가 조사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다층모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졸 청년층들의 취업 후 직무 만족도는 조사 차수가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나, 직업을 통해 얻고자 하는 가치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자들의 전공-직무 일치도는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 계열에 따른 개인차는 없었다. 셋째, 조사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직업 가치관은 직무 만족도 변화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적 직업 가치관을 높게 소유할수록 내재적 직무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적 직업가치관을 높게 소유할수록 외재적 직무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공-직무 일치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무 만족도가 증가하였고 두 요인은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과 직무의 일치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전공 만족도가 전공-직무 일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 시기부터 체계적으로 진로지도를 실시하여 대학생이 된이후에도 전공 만족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try to predict the changing pattern of job satisfaction of job seekers with bachelor`s degree and prove the effect of the major of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change using multi-level models. To do so, I intend to find out how job satisfaction, job value and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change as more investigations are done using multi-level model. As the result shows, firstly, as more investigation is done, their job satisfaction after getting a job increased gradually but the value level they try to seek through their jobs decreased. Secondly, it is shown that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of the respondents for the survey was increasing meaningfully and there was no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according to a field of specialization. Thirdly, as the degree of investigation is increasing, the job value influenced the change in job satisfaction meaningfully. Namely, it reveals that the more internal job value, the lower internal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external job value, the lower external job satisfaction. Lastly, it showed that the more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and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has static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hows that to increase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s important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s the satisfaction is proven to influence the congruence of major and jobs in a positive way, we need to carry out actively the consultation for the future direction of students from the period when they are very young then it will lead to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even when they become university stud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