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29.19
18.221.129.19
close menu
KCI 등재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 희망의 2요인 모델을 중심으로
Moderating Effects of Hope on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Two Factor Model of Hope
진승하 ( Seung Ha Jin ) , 신희천 ( Hee Cheon Shin )
상담학연구 11권 4호 1519-1535(17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641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의 주도사고와 경로사고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 소재 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희망, 우울정서와 우울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희망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Snyder의 희망척도와 같이 2요인이 적합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가 적은 상황에서 우울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은 희망의 하위요인인 경로사고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우울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은 희망의 하위요인인 주도사고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주도사고의 주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완충자원으로써 희망의 역할을 밝혔고 상담 장면에서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서 주도사고와 경로사고의 개입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hope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 sample of 204 colleg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stress, hope, depressive mood and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wo-factor structure of the K-DHS.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influences to depressive mood was moderated by pathway thinking when stress was low, and was moderated by agency thinking when stress was high. And stress and agency thinking had main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s. This study demonstrated role of hope as buffers against stress leading depression, which implies that the intervention of agency and pathway thinking would be changed according to stress level in counseling sessions.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