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96.211
18.223.196.211
close menu
KCI 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경험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조영아 ( Young A Cho )
상담학연구 12권 1호 1-19(19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662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차별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한에 거주하는 북한 이탈주민 500명에게 차별감, 자아존중감, 자기 효능감, 우울 및 불안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감과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내었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상관은 나타내었다. 둘째, 차별감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차별감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차별감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며, 다시 자기 효능감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차례로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가장 좋았다. 본 연구 결과의 함의 및 상담에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self-esteem and general self efficacy on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residing in South Korea. 500 North Korean refugees completed a survey packet containing measuremen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Rosenberg``s self esteem, general self efficacy and Hopkins Symptom Checklist-25(HSCL-25). From the collected data, which were processed with a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perceived discrimination, self-esteem, general self efficacy and psychological distress. Final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was use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include: First,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ut self esteem, self efficacy and psychological distr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Second,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self-esteem, self efficacy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showed that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Third, the model that perceived discrimination directly influenced psychological distress and perceived discrimination influenced self esteem and then influenced self efficacy and finally influenced psychological distress was more appropriate than the perfectly mediating model.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in counseling were mad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