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87.121
18.221.187.121
close menu
KCI 등재
이공계 대학생의 흥미-전공일치도, 자기효능감과 전공적응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Interest-Major Congruence, Self efficacy and Major Adjustm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for College Students
강혜영 ( Hye Young Kang )
상담학연구 12권 1호 115-127(13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668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는데, 첫째, 개인흥미-전공일치도와 자기효능감이 전공적응도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는 어떠한가, 둘째, Holland 일치성 가정과 달리 개인흥미-전공일치도가 높으면서 전공적응도가 낮은 집단, 반대로 개인흥미-전공일치도가 낮으면서 전공적응도가 높은 집단이 존재하는가, 그리고 존재한다면 집단 간에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권 소재 4년제 대학교 이공계학과(학부, 전공)에 재학 중인 2, 3, 4학년(남: 203명, 여: 102명) 총 305명에게 자기탐색검사(SDS)를 실시하고, 전공적응도, 자기 효능감 등을 측정하였다. 학생의 흥미유형과 전공(학과) 간의 일치도는 Healey와 Mourton(1983)의 ‘두 자리 코드’ 일치도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흥미-전공일치도와 자기효능감 전체가 전공적응을 설명하는 양은23.7%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개인흥미-전공 일치도 두 변인 모두 전공적응도에 의미 있게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자기효능감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흥미-전공일치도가 낮더라도 전공적응도가 높은 학생(20.6%), 그리고 개인흥미-전공일치도가 높더라도 전공적응도가 낮은 학생(10.6%)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두 집단 간에는 자기효능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흥미-전공 일치도와 자기효능감 모두 전공적응도에 의미있게 영향미치는 요인이지만 이 가운데 자기효능감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 그리고 Holland 일치성 가정과 맞지 않는 집단도 존재하며 이 집단 간에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있다는 점 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전공 선택 상담 시, 개인의 흥미와 함께 자기효능감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s of major adjustm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examine Holland`s congruence hypothesis. This study ask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interest-major congruence and self efficacy effect on major adjustment? 2) Are there any groups contrast to Holland`s congruence hypothesis? If there are,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 efficacy between groups? For this purposes, data regarding Holland`s Self Directed Search, Self efficacy, Major adjustment were collected from 305 Korean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University in Chungnam(male: 203, female: 102). For calculating the congruence, Healey & Mourton(1983)`s two letter code``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3.7% of major adjustment was explained by interest-major congruence and self efficacy. Interest-major congruence and self efficacy were effective variables on major adjustment, and self efficacy was more effective variable than interest-major congruence. Second, four groups were created by interest-major congruence(high vs low) and major adjustment(high vs low). Groups contrast to Holland`s congruence hypothesi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self efficacy of group A(congruence high & major adjustment high), group C(congruence low & major adjustment high) were higher than group B(congruence high & major adjustment low), group D(congruence low & major adjustment low).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