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29.209
3.16.29.209
close menu
KCI 등재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동등화척도 개발 연구
A validation of parallel tests of Korean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김동일 ( Dong Il Kim ) , 허은 ( Eun Hur ) , 방나미 ( Na Mi Bang ) , 김은정 ( Eun Jung Kim ) , 정여주 ( Yeo Ju Chung )
상담학연구 12권 1호 393-413(21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684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에 대한 높은 관심과 활발한 연구 경향을 반영하여, 기존의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척도(K-척도)에 대한 동등화척도를 개발한 것이다. 관련 연구 조사 및 분석과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서 청소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동등화척도 85개의 예비 검사 문항을 선정하고,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표준화 검사에 사용될 문항들이 추출되었다. 예비문항이 확정된 후에 약 1600명의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표준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A, B, C형의 동등화 문항이 결정되었다. 검사개발의 근거가 되는 이론을 바탕으로 동형검사 A, B, C형의 공분산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분산구조방정식 모형의 잠재변인은 긍정적 기대, 금단, 내성, 일상생활장애, 일탈행동이었고 모델의 인터넷 중독을 비교하기 위해 NFI, CFI, RMSEA 적합지수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NFI의 경우 .94이상, CFI의 경우 .95이상, RMSEA의 경우 .64이하로 중, 고등학생과 초등학생의 모형 모두에서 적합도 지수가 우수하게 확인되었다. 또한, 초등학생들과 중고등학생들의 응답 내용을 중심으로 긍정적 편파 반응 척도와 낮은 집중도 척도의 빈도와 누적 퍼센트를 각 척도별로 구하고, 두 척도가 교차되는 비율을 교차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동등화분석은, 백분위 동등화를 Kolen & Brennan(2004)이 제시한 방식에 따라 MATLAB 6.1(2001)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였다. 그 결과, 동형검사 B형에서 고위험 사용자군으로 판별되는 표준화 검사의 점수는 초등학생 43점 초과, 중고등학생 50점 초과로 나타났으며, 잠재적 사용자군은 초등학생은 39점과 43점 사이, 중고등학생은 45점과 50점 사이로 나타났다. 또한 동형검사 C형에서는 고위험 사용자군으로 판별되는 표준화 검사의 점수는 초등학생 42점 초과, 중고등학생 50점 초과로 나타났으며, 잠재적 사용자군은 초등학생은 38점과 42점 사이, 중고등학생은 45점과 50점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청소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척도 A, B, C형은 앞으로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기존의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척도가 지닌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검사로서 교육 및 상담 현장에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the parallel forms (A, B, C) of Korean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validating Type A, Type B, and Type C. The following is the procedure of this study. Previously developed internet addiction scales were collected and reviewed. Based on this review, the 85 items for the preliminary test were selected and these items were confirmed by the committee of professionals on education and psychiatry. The preliminary test was done on 36 elementary students and the final items for the standardization survey were se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liminary test. The standardization survey was fulfilled from 19, October to 6, November, 2009 during 3 weeks nationwide to about 1600 students at elementary and middle, high schools. Items for type B and type C scales were determined and the validity and the equivalence of two scales were tested. At last, the cut point scores for high risk group and medium risk group of both Type B and Type C scale are decid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Each 20 item of type B and type C scale were selected by the determinant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construct validity, we tes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2.0. The result supported that the model of Type A, B, C all have a good fit for both elementary students and middle, high school students(NFI = .94, CFI = .95, RMSEA = .64). To verify the equivalence of three types of scale, we used Equal-percentile Method by Kolen & Brennan(2004) and the result showed the equal raw scores of Type B and Type C with Type A. For the analysis of the validity scales and the distraction scales, we analyzed the frequencies and the accumulated percentages and checked the intersected percentage of both scales using the cross tab analysis. As a result, we can present the cut point percentage of the validity of the response. At las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andardization survey, we presented the standard scores that define the high risk group, the medium risk group and the general group for each type of scales. High risk group was defined above 43(elementary school) and 50(middle and high school) of standardized score and medium risk group is between 39 and 43(elementary school) and between 45 and 50(middle and high school) in Type B. High risk group was defined above 42(elementary school) and 50(middle and high school) of standardized score and medium risk group is between 38 and 42(elementary school) and between 45 and 50(middle and high school) in Type C.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