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100.120
3.141.100.120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과정과 개입요인 탐색
Exploring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Process and Mediating Factors
임은미 ( Eun Mi Lim )
상담학연구 12권 2호 447-466(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687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을 이해하고 진로결정과정에 개입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재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서면 면접과 대면 면접을 통해 진로결정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 진로결정과정의 핵심범주는 ‘성공과 지지를 바탕으로 결정해 나감’이었다. 성공은 대학입학에서의 성공감을 의미하고 지지는 진로결정 및 준비과정에서 경험하는 지속적인 환경적 지원을 의미한다.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은 입학, 학과적응, 희망직업 구체화,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공고화의 다섯 단계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과정에 대한 주요 개입요인은 부모와의 진로선택 갈등 여부, 소속 전공과 학과에 대한 자부심, 지속적인 환경적 지지 등이었다. 연구대상 대학생들은 취업여건이 매우 열악하다고 지각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한 맥락적 조건을, 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면에서 유사한 현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신의 결정에 의하여 입시 성공의 결과’로 입학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에 취업할 가능성이 있다고 여기면 당면 문제들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진로준비 중심의 생활을 하며 취업여건을 체계적으로 갖추어가면서 각오를 다졌다. 반면, 대학과 전공 선택에 대하여 부모와 갈등을 심하게 겪은 학생일수록 자신의 입학을 실패로 지각하고 학과에 대한 소속감과 자부심을 느끼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진로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ing the process of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mediating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interview data from 15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Participants responded interviews in writing, face to face interview, pre-post career indecision questionnaire over one semester. The data were analysed thru grounded the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re category of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process was "deciding based on success and support". The college students``s career decision process consisted of entrance into college, adjustment to college life, specifying desirable job,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olidifying career decision. The mediating factors in the process were conflicts about career choice between parents/teacher and students, pride in their major, environmental supports etc.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s are various according to individual conditions. While some students decided specific work place, others didn``t decide their occupation. Participants had common experiences in that employment conditions were very poor and they were lack of confidence to get the job. But the students, who have mediating conditions in which there were possibilities to enter desirable occupation, ordered their everyday life focus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y prepared the strategies to meet job requirements and determined to succeed in getting job. The students, who perceived their entrance into the present major as success, willingly gave the school life positive meaning. And they did behaviors to preparing employment requirem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