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36.192
18.116.36.192
close menu
KCI 등재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이현주 ( Hyun Ju Lee ) , 유형근 ( Hyung Keun Yu ) , 조용선 ( Yong Sun Cho )
상담학연구 12권 2호 467-488(2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688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강점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이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강점 기반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강점 기반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프로그램의 구안은 박인우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구안의 과정을 거쳤으며, 잠정적으로 구안된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 전문가와 현장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총 10회기로 구안하였다. 구안된 주관적 안녕감 증진 프로그램은 효능안녕, 정서안녕, 관계안녕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증진하기 위하여 강점 분류체계에 따른 24개의 강점 가운데 감사, 용서, 낙관성, 학구열, 끈기, 사랑, 친절 등의 7개 강점과 대표강점 인식 및 활용을 회기별 주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소재 W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15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 중 15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을 5주 동안 주 2회 실시한 결과,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주관적 안녕감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강점 분류체계에 따른 성격적 강점에 기반하여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rengths 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assess its validity by implementing it. Main objectives are as follows: developing an effective strengths 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lidating its effect on th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Thirty 5th graders from W Elementary School in Chung-cheong area volunteered for this research.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5 stude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5 students were in control group. This counseling program is based on Consult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Park In-u(1995).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two times per week in 5weeks, 10 sessions in total. The test tool was ``subjective well-being scale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of Choi, Bo-Ra(2010). For data processing, ``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rovements of the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each subfactors of the program, the ``efficacy``, ``affect`` and ``relatedness`` fact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ir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experience reports and the counselor``s observations, it can be stated that this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