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54.0
18.191.254.0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장계영 ( Kye Young Jang ) , 김봉환 ( Bong Whan Kim )
상담학연구 12권 2호 539-558(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692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Super의 전생애주기-생애공간 이론(life-span, life-space approach)을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대학에서 직업세계로 전환 후 성공적으로 직업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토대가 되는 진로적응성 개념과 구성요인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상담관련자, 기업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개방설문을 실시해서 진로적응성 개념과 14개의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전국 5개 지역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통계적 문항분석 및 요인분석 과정을 통해 본 척도를 개발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는 8개요인 4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요인의 명칭은 대인관계, 목표의식, 창의성, 책임감, 직무능력, 긍정적태도, 주도성, 개방성으로 명명하였다. 8개 하위요인은 전체분산의 57.2%를 설명하였으며, 신뢰도 Cronbach`` =.75~.87,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54~.85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 /df=2.286, TLI=.909, CFI=.926, RMSEA=.061로 나타나 모든 적합도 기준을 충족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가 대학생이 학교졸업후 직업세계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정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도구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career adaptability construct concept in Korean work environment and to develop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for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Super`s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he results from the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of 226 people(undergraduates, counselors, and currently employed over three years) are as follows: First, career adaptability is "an attitude and competence to adjust for changing work environment, work and job, interpersonal relation, and self." Second, the construct of career adaptability comes to consist of 8 factors (responsibility, goal setting, crea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openness, proactivity, job competence, positive attitude). The items reliability shows hig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78~.87). Also test-retest reliability with three week interval reveals appropriat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54~.85). Total explained amoun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s 57.66%, and 45 items identifi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maximum likelihood estimate. CR, SMC(above .20) and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above .50) of 8 factors reveal meaningful results. The results of cross-validity test demonstrate that the career adaptability scale is a valid instrument( /df=2.286, TLI=.909, CFI=.926, RMSEA=.061). Thus career adaptability can be considered as a valid predictor for career succes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