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144.32
18.217.144.32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유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A Meta-Regression Analysis on Related triggering Variables of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문동규 ( Dong Kyu Moon ) , 김영희 ( Yeong Hee Kim )
상담학연구 12권 3호 945-964(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714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유발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조사시기(2000년도의 전기와 후기)와 조사대상의 연령 및 연구대상의 표집 수에 따른 변화추이를 살펴보아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청소년의 자살을 예방하는 방안을 탐색하여 청소년 교육 및 상담현장, 그리고 정책방안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학회지 게재논문과석·박사 학위논문 중 상관관계를 통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를 설명하여 효과크기 변환이 가능한 논문 69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살생각에 관련된 유발변인군의 효과크기는 학교환경 변인군, 가족환경 변인군, 사회문화 변인군, 심리 변인군 순으로 나타났고, 네 변인군 모두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 유발변인군의 하위변인 중 우울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인지오류, 무망감, 대인관계 스트레스, 비합리적 신념, 공격성 등의 변인들도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든 하위변인들은 큰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환경 유발변인군의 하위변인은 학대 경험과 가정스트레스가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갈등은 중간 크기의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환경유발변인군의 하위변인은 친구관계스트레스와 학교생활스트레스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스트레스와 학교폭력의 효과크기는 중간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문화 유발변인군의 하위변인 중 유일하게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인터넷문제는 효과크기가 중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조사대상, 조사년도, 표집 수에 따른 청소년 자살생각과 관련된 변인의 메타회귀분석 결과 모든 연구 개념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인들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충동성은 저학년일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폭력은 2010년에 가까울수록 효과크기가 크며, 무망감은 2000년에 가까울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폭력은 표집 수가 작을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ious study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rom 2000 to 2010, ninety-one articles published on academic journals and 107 masters` thesis and doctoral dissertation were collected. Of theses studies, 69 articles which had a report primary empirical data met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meta-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our sets of triggering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were included with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al, school environment, and socio-culture facto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mong four sets was school environment followed by family environment, socio-culture, and psychological set in order. The effect size of four sets of triggering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was moderate. Second, the most influential triggering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et of psychological factor was depression followed by cognitive fallacy, hopelessness, stres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rrational beliefs, aggression. The effect size of these variables was large. Third, the most influential triggering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et of family environmental factor was the experience of maltreatment followed by family stress, and parental conflict. The effect size of the experience of maltreatment and family stress was large and the effect size of parental conflict was moderate. Fourth, the most influential triggering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et of school environment factor was stress of peer relationship followed by stress of school life, stres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violence. The effect size of stress of peer relationship and stress of school life was large while the effect size of stres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violence was moderated. Fifth, internet was only influential triggering variable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et of socio-culture factor and the effect size of internet variable was moderat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an be applied to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adolescents` suicide. More especially, the future of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how the different types of measurement impact on th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