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218.62
3.16.218.62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의 애착과 분노표현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Anger expression o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김현주 ( Hyun Ju Kim ) , 이정윤 ( Jung Yoon Lee )
상담학연구 12권 3호 965-981(17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715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애착과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와 인천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477명이었으며, 애착 척도,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어, 안정형과 거부형 애착집단은 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집착형과 두려움형 애착집단은 애착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방식과의 관계에서 분노표출과 분노억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분노통제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집착형과 두려움형 애착집단이 안정형과 거부형 애착집단보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집착형과 두려움형 애착집단이 안정형과 거부형애착집단보다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청소년의 애착과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애착과 분노표출의 관계에서는 안정형과 두려움형 애착집단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애착과 분노억제의 관계에서는 안정형 애착집단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거부형, 집착형, 두려움형 애착집단에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anger expression in adolescents.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Revised(ECR-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TAXI -K), and the Internalized Shame Scale(ISS) were administered to 477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the secure and the dismissing attachment styl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nalized shame, while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eoccupied and fearful attachment style and the internalized shame. Also, the internalized sham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in expression and anger-out expression. Second, the mean score of the internalized shame were higher in adolescent with an insecure(preoccupied, fearful) attachment style compared with a secure attachment style except the dismissing attachment style. Third, the mean score of the anger-in and anger-out expression were higher in adolescent with an insecure(preoccupied, fearful) attachment style compared with a secure attachment style except the dismissing attachment style. Fourth, the internalized shame showed mediation effect between attachment and anger express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