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31.168
3.133.131.168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청소년 대상 주의 집중 능력 검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Test for Children and Adolescent
이명경 ( Myoung Kyoung Lee ) , 김아름 ( A Reum Kim )
상담학연구 12권 4호 1391-1411(21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738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주의 집중 능력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이를 종합적,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주의 집중 능력을 정보처리과정을 근거로 시각 주의력, 청각 주의력, 학습 집중력, 지속적 집중력 4개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전체 50문항의 주의 집중 능력 검사를 개발하였다.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 1,626명을 대상으로 주의 집중 능력 검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 분석을 한 결과 5개의 요인이 발견되었다. 문항별 곤란도 차이가 없는 <학습 집중력>은 하나의 요인으로 묶인 반면, 문항별 곤란도 차이가 있는 시각 주의력, 청각 주의력, 지속적 집중력의 경우 문항의 곤란도에 따라 <시청각 주의력; 높은 수준>, <시청각 주의력; 낮은 수준>, <지속적 집중력; 높은 수준>, <지속적 집중력; 낮은 수준>로 나뉘었고, 시청각 주의력과 지속적 집중력 모두 낮은 수준보다는 높은 수준의 설명양이 컸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본 검사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주의 집중 능력이 자극의 종류보다는 과제 곤란도의 영향을 더 받으며, 학습 능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주의 집중능력은 낮은 수준의 단순한 과제에 대한 반응보다는 기억 전략을 활용해야만 더 잘 수행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과제에 대한 반응을 통해 더 잘 측정되는 특성을 발견하였다. 즉, 단기 기억 용량을 벗어나는 복잡한 정보에 주의 집중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학습 전략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주의 집중 능력 검사는 단순 자극에 대한 선택적 반응 능력뿐만 아니라 복잡한 과제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문제해결에 이르는 능력까지 측정할 수 있는 종합적, 과학적 주의 집중 능력 측정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attention, concentration, development of test, validity Despite the high interest in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there are few tools to measure this ability objectively. In this study,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is divided into four factors; visual attention, auditory attention, learning concentration and continuing concentration. Finally, it was developed a total of 50 items of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test for children and adolescent. It was conducted this test of 1,626 students from 4th to 9th grade nationwide. Through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were found in this test. Learning concentration which is no level of difficulty is single factor, whereas visual-auditory attention and continuing concentration which is existed level of difficulty are classified according to level of difficulty; visual-auditory attention: high level, visual-auditory attention: low level, continuing concentration: high level, continuing concentration: low level. The amount of explanation of high level in visual, auditory attention and continuing concentration are larger than low level of the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ved the validity of this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is affected by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kind of stimulus and this ability is needed to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is clearly measured by responses to a high level of tasks utilizing memory strategies than those to a low level of simple tasks. Thus, it is needed to use appropriate learning strategies for concentrating complex information over short-term memory capacity.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test would be able to not only measure selective response ability for simple stimulus, but problem solving ability performing complex task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