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28.48
3.17.28.48
close menu
KCI 등재
자살행동 예방을 위한 핵심마인드풀니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자살고위험 여대생집단을 대상으로-
Core Mindfulness-based Cognitive Behaviour Therapy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igh Suicide Risk
김정민 ( Jung Min Kim ) , 박준희 ( Jun Hee Park )
상담학연구 12권 5호 1451-1471(21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741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행동 예방을 위한 핵심마인드풀니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우울척도(BDI) 21점 이상(중정도 우울 수준)과 자살생각척도(SSI) 10점 이상의 중복 기준을 충족하거나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자살고위험 여대생 18명을 선별하고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무선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인지적 재구성과 핵심마인드풀니스를 중심으로 구성하고 사회적 기술을 추가하였으며 주 1회 120분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살행동 관련 인지변인인 자살생각, 무망감, 비합리적 신념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실시 후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살행동 관련 정서변인인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살행동 관련 행동변인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문제지향적 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이 증가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에도 프로그램의 효과는 모두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ed to develop core mindfulness-bas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and to verify its effects through pre-, post- and 2-month follow-up tests. For the study, 18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high suicide risk with experience in committing suicide or with a double standard of a score of 21 or higher in BDI and a score of 10 or higher in SSI.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treatment group or a wait-list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10 120-minute weekly sessions on the basis of cognitive restructuring and core mindfulness with an addition of social skill train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For the treatment group, a significant decrease in suicide ideation, hopelessness, irrational belief and depression was marked at the post-test in relation to the pre-test. 2) For the treatment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in problem-oriented stress coping styles was marked at the post-test in relation to the pre-test. 3) While at post-test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uicide ideation, hopelessness, irrational belief and depression in comparison with the wait-list control group, i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problem-oriented and social support-seeking stress coping styles. 4) At 2-month follow-up, all the effects were maintain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