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53.68
3.142.53.68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일반 : 육군병사의 애착유형, 스트레스 대처 및 대인불안의 관계
A Research on the Relations among Affection Type, Stress Handling Style, and Pro-personal Anxiety of Army soldiers
최희숙 ( Hee Suk Choi ) , 박명숙 ( Myung Sook Park ) , 천성문 ( Seong Moon Cheon )
상담학연구 9권 2호 455-468(14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794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육군 병사들의 애착유형, 스트레스 대처방식, 대인불안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의 육군병사 323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유형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사회적 불안 및 회피 척도를 사용하였다. 애착유형과 대인불안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서 일원변량분석을,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인불안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애착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애착유형 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의 유형과 대인불안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애착유형 중 회피형 이안정형, 무시형 및 몰입형 보다 대인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인불안 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정서 완화적 대처를 사용하는 사람과 소망적 사고 대처를 사용하는 사람이 대인불안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애착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몰 입형과 안정형은 사회적 지지 대처방식이 가장 높고 회피형은 정서 완화 대처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안 정형, 무시형, 몰입형은 정서 완화적 대처와 소망적 사고 대처를 사용하는 반면, 회피형은 문제 중 심적 대처, 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 대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의 함 의와 시사점 그리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clarify the relations among affection types, stress handling styles, and pro-personal anxiety.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23 army solder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As for the test tools, the barometer of adult affection type, affection type, and stress handling style. And in measuring pro-personal anxiety, the researcher used the barometer of social anxiety and evasion, a self-reportable test developed. In processing, one way ANOVA was performed to see the relation between affection type and pro-personal anxie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lear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handling style and pro-personal anxiety; one way ANOVA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relation between affection type and stress handling style; and to see the effects of affection type and stress handling style on pro-personal anxie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earing type among affection types was shown higher than ignoring type and absorbed type from the observations on the relations between affection type and pro-personal anxiety. Second, from the comparison of stress handling style and pro-personal anxiety, it was shown that the kinds of people that relieve emotions, have hopeful thinking tend to have higher pro-personal anxiety. Third, from the comparison of affection type and stress handling style, absorption type and stable type were the most socially supportive, and fearing type assumed emotion relieving. Fourth, from the examination of stress handling style on pro-personal anxiety, it was shown that while stable type, ignoring type, and absorption type use emotion relieving and hopeful thinking, a soldier of fearing type uses problem oriented handling, emotion relieving handling, and hopeful thinking measure. That indicates pro-personal anxiety can be reduced only by properly handling by the affection typ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