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85.33
18.221.85.33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일반 :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The Korean Counselor`s Factors which Contribute to Positive Counseling Outcomes
김창대 ( Chang Dai Kim ) , 권경인 ( Kyung In Kwon ) , 한영주 ( Young Joo Han ) , 손난희 ( Nan Hee Sohn )
상담학연구 9권 3호 961-986(26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806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상담자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10명의 상담전문가에게 실시한 2차 면담 내용을 귀납적 분석(inductive analysis)한 결과, 135개 개념과 25개 주제, 5개 범주, 2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결과의 제시는 각 범주 별로 공통요인과 한국적 요인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각 범주는 상담자의 이해, 관계, 태도, 기 법, 자기관리이며 구체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담자에 대한 이해범주의 공통 요인으로는 ‘내담자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전문적인 틀을 능숙하게 활용함’과 ‘많은 상담 경험을 통해 내담자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이해를 함’, 한국적 요인으로는 ‘부모-자녀 중심의 가족주의에 대해서 앎’과 ‘가족 및 사회적으로 경험하는 남녀의 불평등, 학력차별 등에 대해서 앎’이 포함되었다. 2) 상담 관계 범주에서의 공통요인은 ‘삶의 중요한 한 토막을 같이 가는 동반자가 됨’과 한국적 요인으로 ‘내담자를 자식과 같이 여김’, ‘사적인 관계, 정서적 끈끈함의 적절한 활용’, ‘초 기 의존의 효율적인 처리가 필요함’이며, 3) 상담자 태도 범주에서의 공통요인은 ‘내담자의 현상학적 장으로 들어 가 함께 함’ ‘문제에도 불구하고 내담자의 긍정적인 점과 자원을 봄(전체로서 봄)’, ‘융통성이 있음’, ‘진솔성을 가짐’이며, 한국적 요인으로는 ‘높은 관여와 적극적 태도를 취함’이 나타났다. 4) 상담 기법 범주에서의 공통요인은 ‘구체화(질문)을 잘함’, ‘정서에 초점을 둠’, ‘타당화와 수용을 잘함’, ‘버텨주기를 잘 함’, ‘지금-여기를 활용함’, 이 고, 한국적 요인은 ‘조언 및 지시적 개입의 상담적 효과가 서구보다 큼’, ‘상담 초기에 자기 문제 및 감정을 언어 적으로 잘 표현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기다림’, ‘억울함 잘 다룸’, ‘표면과 이면의 차이에 대해서 알고 다룸’이었다. 5) 상담자 자기관리 범주에서의 공통요인은 ‘지속적인 자기성찰과 상담자 자기관리’, ‘상담자의 영성이 상담 에 주는 영향력을 알고 활용함’, ‘피드백을 주고받는 동료관계를 유지함’이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unselor`s factors which contribute to positive counseling outcom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ice in-depth interviews with 10 counseling professionals and analyzed using Inductive Analysis (Patton, 1990). From the Inductive Analysis, 135 concepts, 25 themes, 5 categories, and 2 domains emerged. The result was presented by each 5 categories divided into 2 domains-Korean factors and Common factors as follows; (a)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clients. Common factors of this category were ‘being proficient in using the professional framework for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clients’, ‘rapid and accurate understanding clients through abundant counseling practices’. Korean factors of this category were ‘knowing the parent-children centered system of Korean family’, ‘knowing the sexual and academic background oriented discrimination in family and society’. (b) Relationship. Common factors of this category were ‘being a companion of very significant part in life journey’. Korean factors of this category were ‘regarding clients as their own child’, ‘making proper use of private relationship and emotional attachment’, ‘utilizing client`s dependency on counselor in the early period of counseling’. (c) Attitude toward client. Common factors of this category were ‘entering into client`s phenomenological field and staying together’, ‘viewing clients as a whole and resourceful’, ‘having flexibility’, ‘being genuine’. Korean factor of this category was ‘highly involvement and activeness’. (d) Counseling techniques. Common factors of this category included counselor`s excellent techniques as ‘specification-proper question’, ‘focusing on emotion’, ‘validation and acceptance’, ‘holding’, ‘using here-and-now’. Korean factors of this category were ‘advice and direct instruction being more effective than in western culture’, ‘waiting client`s verbalization`, ‘dealing with the feeling of being mistreated’, ‘knowing and dealing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other’. (e) self-management. This category included ‘consistent self-reflection and management’, ‘knowing and utilizing the importance of counselor`s spirituality’, ‘peer relationship which gives feedback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