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0.162
3.141.30.162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청소년상담 : 청소년이 지각한 또래관계 역량
Adolescence`s perceptions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최한나 ( Hanna Choi ) , 김삼화 ( Sam Wha Kim ) , 김창대 ( Chang Dai Kim )
상담학연구 9권 1호 181-197(17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845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또래관계 역량을 개념도 방법을 통해 밝히고, 또래관계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개인의 역량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7명의 고등학생들이 브레 인스토밍 집단에 참여하여 또래관계 역량에 대한 아이디어를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 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78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산출된 또래관계 역량의 중요도와 개인 역량 수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66개의 또래관계 역량의 구체적 내용이 산출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개념도 분석 결과 또래관계 역량은 ``배 려성``, ``타인 존중``, ``대인민감성``, ``사회성 기술``, ``인상관리``, ``집단내 조화``, ``내적 강인성``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둘째, 또래관계 역량의 중요도 인식에 비해 개인의 역량 수준은 낮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성 기술``과 ``내적 강인성`` 범주가 중요도와 역량 수준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Seventee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brainstorming group and solicited 66 statements describing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In addition, 178 students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describing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and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were categorized as ``caring``, ``respect``, ``sensitivity``, ``social skill``, ``impression management``, ``group harmony``, ``enterprising``. Second, participants rated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lower tha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eer relationship competence. Implic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