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4.109
3.21.104.109
close menu
KCI 등재
가족상담 : 한국 기독교 문화권 가족의 스트레스와 적응연구: A Test of Causal Model
Family Stresses and Adjustments of Korean Christian Cultural Families: A Test of Causal Model
이현경 ( Hyun Kyung Lee )
상담학연구 9권 1호 295-304(1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851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한국기독교 가족들의 네 개의 가족치료 요인들(가족 스트레스 원, 기독교가족가치관, 가족자원, 가족지각)과 가족적응 변인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참여자로 223명의 한국 기독가족들이 참가하였다. 그리고 다섯 가지 가족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알기 위해 Causal Mode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 요인은 가족가치관과 가족 자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론되었다. 연구의 발견들은 과거의 스트레스 연구들을 지지하고 있으며 연구의 가설과 같이 가족가치관(FV)에 관한 가족 스트레스 원(FS)의 전 효과(total effects, .67), 가족지 각 (FP)에 관한 기독교 가치관의 전 효과(total effects, .84)와 가족적응 (FA)에 대한 가족의 지각(FP)의 전 효과(total effects, .71), 그리고 가족적응 (FA)에 대한 기독교가족가치관(FV)의 전 효과(total effects, 79)는 유의미했다. 결론적으로 이연구의 중요한 결과는 스트레스 상황 안에서 가족지각은 가족의 적응을 하는데 중요한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안정된 가족 가치관이 있는 가족일수록 가족의 적응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며 이 연구에서 기독교 가족가치관은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결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our family therapeutic factors (family stressor, family value, family support, and family perception) and the family adjustment variable in Korean Christian families. The Korean subjects were 223 family members in this study. Th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five family factors were examined using the Causal Model. The finding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family stressor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amily value and family resource. The finding wa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and as hypothesized, a positive total effect of family stressor on family value (.67); family value on family perception (.84); family perception on family adjustment (.71); and family value on family adjustment (.79) were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finding had the important results that the family perception factor in stress situations was the major determinant of the family adjustment. The families who had more stable family values tended to have better family adjustment., and the factor of Christian family value in this study was very significa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