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29.145
18.221.129.145
close menu
KCI 등재
가족상담 : 협의이혼 청구자와 기혼자의 성별에 따른 자기분화 및 신체증상
The Impacts of Marital Status and Gender on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hysical Symptom
전영주 ( Young Ju Chun )
상담학연구 9권 1호 305-316(1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852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법원에 협의이혼을 청구한 협의이혼 청구자 집단과 안정된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기혼자 집단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자기분화 및 신체증상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결혼상태와 성별, 자 기분화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한 본 연구의 대상은 총 652명으로, 이들은 협의이혼을 청구하기 위해 가정법원을 방문한 부부 442명과 안정된 결혼생활을 하고 있는 부부 210명이다. 이혼청구자에 대한 설문은 법원의 도움을 받아 무선 표집으로 실시하였으며, 기혼자에 대한 설문은 가족상담 및 가족학 전문가 집단을 통한 의도표집으로 이루어졌다. 자 기분화의 지표로 심리분화와 관계분화를 보았으며,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이 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상태와 성별에 따른 네 집 단 중, 이혼청구자 집단의 남성에서만 신체증상과 자기분화간의 유의한 부적 상관성이 나타났다. 둘 째, 자기분화 수준은 이혼청구자 여성에서 가장 높았으며, 기혼자 여성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 기분화수준에서 결혼상태의 주효과 및 결혼상태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지만, 성별의 주효 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신체증상에서 이혼청구자 집단이 기혼자 집단보다 더 많은 신체증상을 보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신체증상을 보였다. 또한 기혼자 집단에서는 신체증상에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혼청구집단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신체증상을 나타내어 결혼상태와 성 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결혼상태와 성별, 자기분화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성별과 결혼상태, 심리분화가 신체증상에 대한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divorcing couples and married couples, examining the differentiation of self and somatization depending on the gender.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were 652 people in which 442 people filing divorce at Busan Family Court and 210 people maintaining happy marriage. Using SPSS 12.0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hysical symptom was only found in men of divorce-filing group. Second,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was the highest among the women of divorce-filing group and the lowest among the women of healthy-married group. There was no gender effect on differentiation of self. Third, regarding the physical symptom, all the factors -marital status, gender,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marital status and gend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physical symptom. People of divorce-filing group and women are more likely to have physical symptoms. Finally, running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of fiv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marital status, gender, marital status*gender interaction, psychological differentiation, and relationship differentiation, all the factors except relationship differentiation were reveal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physical sympto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