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74.216
3.137.174.216
close menu
메타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인본주의적 집단상담과 인지·행동적 집단상담간의 효과비교
A Meta-Analysis Comparison on the Effects of Humanistic and Cognitive-Bahavioral Counseling Groups for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Self-Esteem
홍경자 ( Kyung Ja Hong ) , 임지선 ( Ji Sun Yim ) , 김왕석 ( Wang Sok Kim )
상담학연구 2권 1호 23-44(2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902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증진을 목적으로 실시된 여러 개의 개별적인 인본주의적 십단상담과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각 접근방법과 연령에 따른 집단상담의 효파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최근 10여 년간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해 인본주의적 접근과 인지·행동적 접근의 집단상담을 실시한 학위논문 52편을 대상으로 54개의 개별 연구 효과 크기를 구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종합하는 전체평균효과크기를 구하고, 접근방법과 연령에 따라 평균효과크기를 구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AS6.l2를 통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54개의 집단상담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1.036으로 인본주의적 접근과 인지·행동적 접근의 집단상담이 일반적으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4개 집단상담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증진에 있어서 인본주의적 접근의 집단상담(d=0.921)보다는 인식·행동적 접근의 집단상담(d=1.304)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해 실시된 인본주의적 접근과 인지·행동적 접 근의 집단상당효과는 상급학교의 진학과 사춘기를 경험하게 되는 14-16세에 집단상담의 효과가 가장 컸으며(d=1.172), 다음이 17-19세(d=l .027), 11-13세(d=1.004)의 순이었다. 그리고 20세이상(d=0.937)의 집단에서는 그 효과가 가장 작은것으로 나아났다. 넷째, 인본주의적 접근의 진단상담은 14-16세(d=1.194)에 가장 효과가 컸으며, 다음이11-13세(d=1.026), 20세 이상 (d=0.937) 17-19세(d=0.561)의 순으로 효과가 나타났다. 인지·행동적 접근의 집단상담은 17-19세(d=1.760)에 가장 효과가 컸으며, 다음이 11-16세(d=1.150), 11-13세(d=0.918)의 순으로 효과가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11-13세에서는 인지 ·행동적 접근(d=0.918)보다는 인본주의적 접근(d=1.026)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14-16세에서는 인본주의적 접근(d=1.194)이 인지·행동적 접근(d=1.750)보다 약간의 차이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7-19세 에서는 인시·행동적 접근(d=1.760)이 인본주의 접근(d=0.561)보다 상당히 많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humanistic and cognitive-behavioral counseling groups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by meta-analysis. This study calculated the effect sizes of 54 among 52 theses on counseling groups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from 1991 to 2000, and then calculated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and the mea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approaches and age.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SAS 6.12.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hich was calculated from 54 effect sizes was 1.036. It showed that the counseling groups administered in the last decade were generally effective. Second, cognitive-behavioral approach(d=1.304) was more effective than humanistic approach(d=0.921 ). Third, the most effective age group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was the age 14-16 group(d=1.172) and the next were 17-19(d=1.027), 11-13(d=1.004) and above 20(d=0.937) in order. Finally, as for humanistic counseling group, the most effective age group was 14-16(d=1.194), and the next were 11-13(d=I.026), above 20(d=0.937) and 17-19(d=0.561) in order. As for cognitive-¬behavioral counseling group, the most effective age group was 17-19(d=1.760), and the next were 14¬-16(d=1.150), 11-13(d=0.918) in order. Depending on age, humanistic approach(d=1.026) was more effective than cognitive-behavioral approach(d=0.918) for 11-13 age group. And humanistic approach(d=1.194) was more effective than cognitive-behavioral approach(d=1.150) for 14-16 age group. In the case of 17-19 age group cognitive-behavioral approach(d=1.760) was much more effective than humanistic approach(d==0.561).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ge and developmental level should be considered in administering humanistic and cognitive-behavioral counseling groups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