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96.211
18.223.196.211
close menu
동료상담자에 의한 지지집단 상담 효과
The Effect of Support Group P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황혜리 ( Hye-lee Hwang )
상담학연구 3권 2호 365-383(19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941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동료상담자를 활용하여 지지집단을 지도하게 한 후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생의80%이상이 기숙사 생활을 하고 있으며, 전교생이 팀제도로 운영되는 한동대학교의 특성은 학생들 서로간에 동료상담을 이루어갈 수 있는 효과적인 상담서비스 자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학교장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집단과 동료상담을 함께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동료상담자의 훈련 대상은 상담자 역할에 관심이 있고 자기발견, 치유에 관심이 있는 한동대학교 학생들이었고, 인간관계 훈련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아개념 증진 및 동료상담자 훈련으로 사용되어지는 이형득의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2시간씩 10회기와 집단실습 교육을 10시간 진행하여 동료상담자를 훈련하였다. 실험집단은 동료상담자 훈련을 받은 학생들 중 실연경험이 있는 동료상담자를 선발하여 실연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지집단 실연동료상담 프로그램을 2시간씩 12회로 진행하게 하였고 통제집단은 자연치유 대기집단으로 운영되었다. 본 연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로는 Schlin과 Guerney(1971)의 Relationship Change Scale을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한 대인관계 변화척도, Rosenberg(1965)의 자존감 척도, R.W.Baker와 B.siryk(1984)가 제작한 것으로 연세대 학생상담소에서 번안 제작한 대학생활적응도, Kamman과 Flett(1983)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박혜주 학위논문에서 발췌한 생활만족도를 사용하였다. 각 집단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연 지지집단 동료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은 경험하기 전과 비교하여 볼 때 대인관계를 향상시켰다. 실연 지지집단 동료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은 경험하기 전과 비교하여 볼 때 자존감을 향상시켰다. 실연 지지집단 동료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은 경험하기 전과 비교하여 볼 때 생활만족도를 향상시켰다. 실연 지지집단 동료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은 경험하기 전과 비교하여 볼 때 대학생활적응도를 향상시켰다. 지지집단 동료상담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인간관계, 자존감, 대학생활적응도,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지집단 동료상담을 활용한 프로그램은 효과적이었다.

This present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the group therapy led by peer counselors. Since 80% of Handong students reside in school dormitories and all students are belong to a subgroup system called “team” Handong University provides has plenty of resources for peer counseling. In order to use this natural resources at its best, a peer counseling activity was combined with peer support group counseling. Peer counselors were selected among students, who wanted to be counselors with interest in self and others` growth, and were trained two hours per week for ten times through Hyung Duk`s Self Growth Program, that focused on improving self concept and training peer counsel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this study selected a peer counselor, who have experienced of being crossed in love, led the support group for the students have same experience for two hours for twelve times.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students who were on the waiting lists of counseling with no treatment. The methods for measuring the effect of this study were “the scale of change in relationship” contextualized from "Relationship change Scale by Schlin & Guerney (1971), “the fitting scale of campus life" modified by Younsei University Student Center from ”the scale of self-esteem” by R.W. Baker & B. siryk (1984), and “the scale of content life” borrowed from Hae Joo Park`s thesis,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Kamman & Fett(1983).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tests of the peer support group counseling are as follows; Members experiencing “being crossed in love peer support group counseling” showed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mbers experiencing “being crossed in love peer support group counseling” showed improvement in self-esteem. Members experiencing “being crossed in love peer support group counseling” improved the degree of life content. The study of effectiveness of the peer support group counseling results that it has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respect, campus life, life content. Accordingly, we conclude that the peer support group is effectiv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