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221.113
52.14.221.113
close menu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오태희 ( Tae-hee O ) , 이현림 ( Hyun-rim Lee )
상담학연구 3권 2호 439-447(9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945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연구목적은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통해 고등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첫째,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했으며, 둘째,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계 남·여 고등학생 1학년 32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16명과 통제집단 16명씩 각각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매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로 구성된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사전, 사후 검사만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Crites의 진로의식성숙검사와 Harren의 진로의사결정검사에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유형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식성숙에 있어서 진로결정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둘째,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능력 유형 중 합리적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은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가치명료화 과정의 경험을 통해서 자기 가치관의 확립이 잘 될수록 직관적이거나 의존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기보다 합리적인 방법으로 선택하게 되며, 진로결정수준도 더 높음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osely the effects of a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f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2 freshmen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in a college preparatory high school located in Daegu.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6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16 into the control group. A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90 minutes once a week in a total of 12 s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aspects of decisiveness, independence, and propensity of the career choice. Second, after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was comple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with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reasonable pattern of decision-making, but not in the intuitive, and dependent patter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