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87.121
18.221.187.121
close menu
KCI 후보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특수아 부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The difference of stress coping styles in parent of child with special needs on socio-demographic factors
윤치연 ( Chi Yeon Yoon ) , 천성문 ( Sung Moon Cheon )
상담학연구 4권 2호 254-266(13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968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아 부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가족 지원체계를 고찰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은 부산 지역의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특수아 부모 136명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검사 도구는 전겸구 등(1994)이 개발한 다차원적 스트레스 대처 척도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각각 t검증 혹은 F검증 후 Turkey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특수아 부·모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 철수, 자제, 동화, 체념 및 정서적 지원추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특수아 부모의 연령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적극적 대처, 정서표출, 자제, 체념, 자기비판 및 종교적 추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특수아 부모의 학력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 철수와 체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맞벌이 여부에 따른 특수아 부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소극적 철수, 자제, 긍정적 비교, 동화, 체념, 정서적 지원추구 및 종교적 추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생활수준에 따른 특수아 부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적극적 대처, 정서표출, 적극적 망각, 자제, 고집, 긍정적 해석, 동화, 자기비판, 정서적 진정 및 정서적 지원 추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특수아 부·모간, 연령, 학력, 맞벌이 여부 및 생활수준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변인들을 고려한 특수아 부모들의 심리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ress coping styles in parents of child with special needs and to consider the support system for the family. Specifically, the difference of parent`s stress and coping styles was analyzed by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double-income, academic career, a standard of living.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developed by Chon Kyum-Koo (1994).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parents of student being in the special schoo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handled by the SPSSWIN 10.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were process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n were verified by t-test and F-test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s of stress and coping sty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The parents` stress coping styles across gend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ssive withdrawal, self-restraint, accommodation, fatalism and emotional support pursuit. 2. The parents` stress coping styles across 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ctive coping, emotion expression, self-restraint, fatalism, self-criticism and religious pursuit. 3. The parents` stress coping styles across academic care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ssive withdrawal and fatalism. 4. The parents` stress coping styles across a double-income famil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ssive withdrawal, self-restraint, positive comparison, accommodation, fatalism, emotional support pursuit and religious pursuit. 5.The parents` stress coping styles across a standard of liv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ctive coping, emotional expression, active forgetting, self-restraint, perseverance, positive interpretation, accommodation, self-criticism, emotional pacification and emotional support seeking. Therefore socio-demographic factors are considered to develop the program and supported service for parent of child with special need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