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08.168
18.191.108.168
close menu
KCI 후보
농촌 부부평등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분석적 연구
A Analytic Study on Effectiveness of The Marital Equality Education Program for Rural Couples
최규련 ( Kyu Reon Choi )
상담학연구 4권 2호 309-328(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972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농촌여성의 역할과중문제 해결과 지위향상 및 부부관계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부부평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부부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하고, 참가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결혼생활 돌아보기, 스트레스 및 갈등대처, 평등한 부부역할, 말하기 기술, 경청기술, 갈등해결방법, 관계향상 등을 포함한 7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10시간의 1박 2일 교육으로서 강의, 지도자시범, 비디오와 OHP활용, 시범지도, 개별실습지도, 부부별 실습, 편지 쓰기, 발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 동안 총 12차의 교육을 실시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교육종료 1개월 후 추후검사를 하였으며 추후검사까지 참가한 총 130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양적·질적 분석과 참가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효과검증 결과 유의한 변화로서 참가부부들은 교육 전에 비해 평등의식과 태도가 향상되었고 결혼만족도가 증가하였으며, 갈등대처방식 중 바람직하지 않은 대처방식이 감소되고 이성적 대처방식이 증가하였다. 또한 교육 후 변화로서 남편의 가사참여증진과 부부 공통의 가정일 의논 등 평등한 역할실천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또한 배우자 의견존중, 말하기 기술과 경청기술의 사용, 갈등관리 등을 실천하고 부부관계 개선노력을 함으로써 부부 양방의 결혼만족도가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용에 만족하고 유익하다고 평가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는 참가자들의 성별이나 연령, 가족형태와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있었으나 다만 학력이 높은 집단과 경제상태가 중상인 집단에서 일부 영역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arital Equality Education Program for rural couple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is program was consisted of 7 sessions(10 hours) through 1 night 2 days. The contents of sessions were reviewing marriage relationships, coping role stress, marital equality, self expression & speaking, understanding spouse & listening, anger control & conflict resolution, and enhancing marital relationships. The program was delivered to 130 couples who live in rural area in kyunggi province, kyungbuk province and cheonbuk province, and was carried out total 12 times for 3 year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1 month later and also by qualitative analysis, and was investigated the impacts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participan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uple`s egalitarian role attitude & practice, self-esteem, coping role stress & conflict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ed the program had also positive impacts on the husband`s housework attending & marital equality, marital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marital relationships. Additionall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as partially effected by demographic variables of participants such as th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econom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