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9.14.219
18.189.14.219
close menu
KCI 후보
스트레스 대응훈련이 기능직 직장인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tress Coping Training on the Stress Reduction of Workers
윤경원 ( Kyung Won Yoon )
상담학연구 4권 3호 463-478(16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981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응훈련 프로그램이 기능직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지를 알아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장에 근무하는 기능직 사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스트레스 대응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였다. 프로그램은 1회기에 2시간씩, 총 20시간으로 첫 날 8시간, 둘째 날 8시간, 셋째 날 4시간으로 2박3일간 단기 집중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실시하였으며, 훈련에 참가한 기능직 사원 20명을 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사용된 통계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스트레스 검사에 대한 사전, 사후 득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집단)×2(검사시기)의 혼합요인 설계를 하여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각 하위요인의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또다시 변량분석을 하였다. 스트레스 대응훈련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한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Meichenbaum의 스트레스 예방훈련과 Kubiak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대응훈련 프로그램 등을 참고로 하여 우리나라 기능직 사원들에게 실시하기에 적당하도록 재구성하여 만든 것이며 총 10회로 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관계이론 및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한 결과, 스트레스 대응훈련 프로그램은 직장인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개인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트레스 대응훈련 프로그램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현장 기능직 사원들에게 직장생활에 대한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주고 긍정적인 태도변화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rame a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for workers and to evaluate the program. The study was referred to "Stress inoculation training" by Meichenbaum, D. (1985), : Effective plan for coping stress" by Jang Hyun Gap(1991), and "Coping with stress" by Mills(1986). The program consisted of the following, (1) Orientation and sharing stress experiences with others (2) Relaxation training (3) Making stress table (4) Rational thinking (5) Reframing of irrational thinking (6) Mixed training (7) Learning the principles of problem solving (8) Introducing assertion training (9) Exercising assertion training (10) Application. The main points of stress coping training were to know correctly what it is and why it occurs, to control its strong activity with self-allusion through mental dialogue and to acquire the various coping methods. The study noticed that stress can be reduced by understanding themselves and their processes of growth and having harmonious human relations. The total of 20 workers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For 120 minutes each time, it was practiced ten times for 3 days. To measure the levels of stress, "Stress questionnaire development for teachers" by Ha Koing (1988) was use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NOVA. It was concluded that the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with workers in reducing the levels of stress. 1. The training group had significantly less stress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2. The training group had significantly less stress after taking train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