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0.34
3.21.100.34
close menu
KCI 후보
분산적,집중적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따돌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비교
The Comparison of Effectiveness between Extensiv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Intensiv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elf-expression of the Rejected Children
김종운 ( Jong Un Kim )
상담학연구 4권 3호 479-497(19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982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2회 분산적으로 실시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과 2박 3일 일정의 집중적(marathon)으로 실시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따돌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어떠한 처치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서 따돌림 피해를 경험한 아동 중 사회적 기술 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담임교사의 추천을 받은 4, 5, 6학년 아동 8명과 D초등학교에서 따돌림 피해를 경험한 아동 중 사회적 기술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담임교사 추천한 4, 5, 6학년 아동 23명 중 참가를 희망하는 16명이었다.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 주최하고 부산학교상담학회에서 주관한 마음을 여는 여름상담학교에 참가한 아동 중 무선적으로 어느 한 반에 편성된 아동으로 2박 3일 일정의 사회기술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은 집중적 실험집단, D 초등학교에서 추천 받은 아동 중 8명은 분산적 실험집단, 나머지 8명은 통제집단에 무선배치하였다. 처치는 분산적 실험집단에는 주2회 각 90분씩, 총 10회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집중적 실험집단에는 2박 3일 일정으로 1회 90분씩, 총 10회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분산적 실험집단과 같은 시기에 사전-사후 검사만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산적으로 실시한 사회기술훈련과 집중적으로 실시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따돌림 아동의 낮은 자아존중감을 유의미하게 증진시켰고 대인관계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자기표현 능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적으로 실시한 분산적 실험집단과 집중적으로 실시한 집중적 실험집단 간에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 능력 향상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인관계에서는 집중적으로 실시한 실험집단이 분산적으로 실시한 실험집단보다 대인관계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n extensiv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with the effects of an intensiv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and self-expression of the rejected children. The subjects were 24 children who victimized by group bullying and recommended by a class teacher in Busan city. 8 subjec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summer counseling program were assigned in the intensive experimental group. 8 subjects were assigned in the intensive experimental group, and 8 were in the control group randomly. The extensiv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0 session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in 5 weeks(each session lasted about 1.5 hours). The intensive experimental group were experienced an intensiv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15 hours for three days. The instrument in this study were Self-esteem Scale, Interpersonal Relations Scale and Self-express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post hoc multiple comparisons(Duncan). The t-test was employed to find differences among groups after treatment. the extensive experimental group and the intensiv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elf-expression. The oneway ANOVA and post hoc multiple comparisons Duncan were analyzed to find more concrete differences between the extensive experimental group and the intensive experimental group. The intensive experimental group seemed more effective than the extensive experimental group in interpersonal relations. The intensive experimental group seemed more effective than the extensive experimental group in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