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85
3.149.25.85
close menu
KCI 후보
상담 효과 유무에 따른 상담자 개입·내담자 진전 수준의 차이와 변화양상 -단기역동상담을 중심으로-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Counselor Intervention and Client Progress and The Style of Change Between Cases Found to be Effective and not to be Effective -focusing on the brief psychodynamic counseling-
이희백 ( Hee Back Lee ) , 정성경 ( Sung Kyung Chung )
상담학연구 4권 4호 663-683(21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3993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단기역동상담의 상담효과를 좀 더 명확히 살펴보기 위해 상담자 개입 반응 수준과 이에 따른 즉시적 내담자의 진전 반응 수준을 과정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심리검사 결과에서 상담효과가 있었다고 판명된 사례와 효과가 없었다고 판명된 사례 간의 실질적 반응 차이를 검토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에 활용한 15개의 단기역동 상담사례 중 심리검사 결과에서 다른 사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신건강 상의 변화가 많았다고 판단된 세 사례(효과 사례)와 변화가 별로 없었다고 판단된 세 사례(비효과 사례)의 축어록을 작성하고 개입일화로 나눈 후, 상담자 개입 유형인 대인관계양식, 조화와 반응, 기법의 적용 능력 수준과 내담자의 진전/침체 수준을 Rutgers 상담자 과정 척도, Rutgers 내담자 진전/침체 수준 척도로 평가하였다. 효과/비효과 사례 간 상담자 개입 수준과 내담자 진전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효과/ 비효과 사례 간 상담자 개입 수준에서 대부분의 상담자 개입 반응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담자 진전 반응에서도 명확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차후 상담 과정-결과 연구에 실질적인 내담자 진전 반응 수준을 종속측정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변화양상에서는 상담초기부터 효과/비효과 사례 간 상담자 개입 수준과 내담자 진전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 상담이 종결될 때까지 유지되었으며 비효과사례의 대부분에서는 상담종결 시 비촉진반응이 더욱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ief psychodynamic counseling the level of counselor intervention and the level of immediate client progress were examined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Differences of the real response between cases found to be effective and not to be effective in terms of the result of psychological test were investigat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counseling transcripts were made of both 3 effective cases and 3 ineffective cases among 15 brief psychodynamic counseling cases and classified according to intervention anecdote, both counselor intervention style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yle, harmony and response, the level of ability to adapt counseling technique and the level of client progress/stagnation were evaluated through Rutgers counselor process scale and Rutgers client progress/stagnation scale. To test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both counselor intervention and client progress between the effective cases and the ineffective cases the difference tests were occupied. In result among the level of counselor interventions between effective cases and ineffective cas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ost part of counselor intervention responses and client progress responses. Therefore it seems possible to employ the level of client progress responses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e counseling process-outcome research in future. In terms of the style of change, from the beginning of the counseling, differences of the level of counselor intervention and client progress between effective counseling cases and ineffective cases were found and kept until the end of the counseling. Most part of the ineffective counseling cases non-facilitative responses were found to increase at the closing of the counsel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