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59.150
18.119.159.150
close menu
KCI 후보
여자 청소년들의 비만도 ,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obese degree, self-perceived level of obese, and psychological adjuct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조성은 ( Seong Eun Cho )
상담학연구 5권 1호 129-140(1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013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여자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비만도와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이 심리적 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측된 신장과 체중으로 비만도를 산출하였으며,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 척도를 개발하여 측정하였다. 심리적 적응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열등감, 자기 효능감, 우울, 신체상 지각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10.8%가 비만도 10이상인 과체중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74.4%가 자신의 현재 체격보다 작은 체격을 이상적인 체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비만도는 우울, 열등감, 자기 효능감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으며,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 신체적 자각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비만도가 높을수록 비만에 대한 사고를 많이 하고 자신의 신체를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은 열등감, 우울, 신체상 지각, 비만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기 효능감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신체상 지각이며 비만도, 우울, 열등감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만과 관련된 여학생들의 심리적 부적응은 비만도보다는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과 관련이 더 많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체중조절을 위해서는 무조건 다이어트를 시작할 것이 아니라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을 먼저 검점해보고 체형에 대한 불만족이 심리적인 문제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반드시 점거해 볼 필요가 있다. 또 비만한 학생들에 대한 체중감소에서도 비만수준에 대한 자기인식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적당한 체격에 대해 만족할 수 있도록 돕는 인지행동적 치료가 다이어트와 심리적 적응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obese degree, self-perceived level of obese, and psychological adjuct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Six scales (Inferiority inventory, The self-efficacy scale, Depression inventory, The self-perceived level of obese questionnaire, The revised Sihouette body image test, and physical obese degree) were administered on 203 girls who were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10.8% of them were examined as overweight. Second, 74.4% of them preferred the smaller body than the present bod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hip among the obese degree, the self-perceived level of obese, and body imag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hip among the obese degree, inferiority, depression, and self-efficacy.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hip among the self-perceived level of obese, inferiority, depression, obese degree, and body image. At las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self-perceived level of obese and self-efficac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