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63.87
18.224.63.87
close menu
KCI 후보
수퍼바이저 행동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수퍼비젼 요소 연구
Components of Effective Supervision by Supervisor Behaviors
손진희 ( Jin Hee Son )
상담학연구 5권 2호 243-261(19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021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수퍼비젼을 구성하는 수퍼바이저 행동은 무엇인지, 수퍼바이저 행동과 수퍼비젼 만족도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수퍼비젼 상황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수퍼바이저 행동 목록과 수퍼비젼 만족도 관련 도구를 조사?선정하고 전문가로부터 번역의 확인 및 수정을 거쳐 수퍼바이저 행동 질문지와 수퍼비젼 만족도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연속적으로 수퍼비젼을 3-4회 정도 실시하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수퍼바이저 40명, 수퍼바이지 53명이었다. 이들 연구대상에게 수퍼비젼의 수행 혹은 수퍼비젼 받은 경험을 회상하여 수퍼바이저 행동 질문지와 수퍼비젼 만족도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모두 효율적인 수퍼비젼에 중요한 수퍼바이저 행동으로 수퍼비젼 관계와 피이드백 관련 행동을 거론하였고, 특히 피이드백 관련 행동은 실행도도 높다고 지각하였다. 이들 수퍼바이저 행동 목록은 수퍼바이지들의 만족도와도 상관이 높았다. 수퍼바이저 행동 목록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평가에서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간 지각차이가 발견되었다. 수퍼바이저들은 자율성을 촉진하는 항목을 중시한 반면, 수퍼바이지들은 구체적인 제안이나 가르침 항목에 더 만족하였고, 대체로 수퍼바이지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수퍼바이저 행동은 기대보다 덜 실행된다고 보고 있었다. 그 외, 수퍼바이저들은 수퍼비젼 관계를 촉진하는 행동을 자주 수행했다고 하였지만 수퍼바이지들은 이들 행동보다는 수퍼비젼 운영과 관련된 행동들이 수퍼비젼에서 가장 자주 수행되는 행동이라고 보았다. 상담자에 대한 관찰과 관련된 수퍼비젼 행동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게 평가되었고 만족도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바이저 행동에 대한 수퍼바이지 발달 수준별 비교에서는 경력자들이 초급자들보다 수퍼바이저 행동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었지만 만족도에서는 초급자들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언도 언급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effective supervision in the supervision setting. Examines how the supervisor behaviors affected the supervises satisfaction. Prior to this research Supervisory Behavior Questionnaire(SBQ) and Supervisory Satisfaction Questionnaire (SSQ) were selected after literature review. And SBQ and SSQ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revised by expert. Data was collected from 40 supervisors and 53 supervisees who have experienced more than 3-4 supervision sessions in rows.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based on their recollection of supervision. Results indicate that: supervision relationship and feedback on supervisee were rated important by both supervisors and supervisees for good supervision; especially feedback related behavior was most frequently performed. Supervisor behavior list was correlated with the supervisee s satisfaction. The frequency/importance of supervisors behaviors were perceived differently between supervisors and supervisees. Supervisors considered promoting independence were most important, however supervisees expressed more satisfaction on directive teaching and suggestions. And the supervisor behaviors which supervisee regarded as important were less implemented as they expected during the supervision. Also, supervisors perceived that the behaviors facilitating the supervision relationship were frequently performed, but supervisees perceived the supervision management behaviors were most implemented during the supervision. The behaviors monitoring supervisees were rated less important and less implemented by both supervisors and supervisees, and not correlated with the supervisee s satisfaction. Supervisee s perception on the supervision behavior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s. The Means for perceived frequency of supervisor behavior of advanced supervisee group is higher than beginner s group, but more satisfied beginner s group.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