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65.66
18.117.165.66
close menu
KCI 후보
불안이 학업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학업 상담을 위한 접근에서 창의성과 사회문제 해결의 영향
The Effects of Anxiety, Creativi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on Academic Self-Efficacy
윤창영 ( Chang Young Youn ) , 이은경 ( Eun Kyoung Lee ) , 김금미 ( Keum Mi Kim )
상담학연구 5권 2호 337-351(15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027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불안과 관련하여 학업유능성에 어려움이 있는 대학생들을 상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불안과 창의성, 불안과 사회문제해결의 상호작용효과가 학업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180명(여자 95명, 남자 8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과 창의성, 사회문제해결 및 학업유능성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유능성에 대하여 불안과 창의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불안이 낮을 때는 창의성의 수준과 상관없이 학업유능성이 높았고, 불안이 보통 수준일 때에는 창의성이 낮을 때보다 보통일 때 학업유능성이 높았다. 불안이 높을 때에는 창의성이 보통일 때보다 높을 때 학업유능성이 높았다. 학업유능성에 대하여 불안과 사회문제해결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불안이 낮거나 보통일 때 사회문제해결의 수준에 관계없이 학업유능성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 불안이 높을 때에는 사회문제해결 수준이 낮은 조건보다 사회문제해결 수준이 높은 조건과 보통인 조건에서 학업유능성의 평균이 의미있게 높았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시험불안과 관련하여 상담과 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의의, 한계 및 장래 연구의 과제도 함께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anxiety and creativity interaction, anxie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processing on academic self efficacy. For the purpose, a sample of 180 undergraduate (female 95, male 85)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Cattell`s 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 and D`Zurilla & Nezu`s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academic self efficacy inventory. The results was that the low anxiety group have the higher score of academic self-efficacy regardless of the creativity level. And the high anxiety group have the high score of academic self-efficacy in high creativity level. Second results was the low anxiety group have the high score of academic self-efficacy regardless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level. The significant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 & therapy of anxiety, and the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opics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study were mention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