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206.169
3.145.206.169
close menu
KCI 등재
예비 초등교사의 역할정체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f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role identity scale for pre-elementary school teacher
박성미 ( Sung Mi Park )
상담학연구 6권 1호 229-244(16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094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의 역할정체감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화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에 기초하여 예비 초등교사의 역할정체감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다시 전문가 10인을 통해 내용타당도 검증을 하여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문항선별을 위하여 교대생 284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하였고, 문항 평균점수, 문항총점 상관 등의 기술통계치를 중심으로 1차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주요인분석을 통해 2차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문항으로 예비검사 시행 때와 다른 교대생 539명, 초등교사 244명, 전체 683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하였고, 문항 평균점수, 문항총점 상관, 주요인분석을 통해 최종문항을 완성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예비 초등교사의 역할정체감 척도는 세 요인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 신뢰도 계수는 양호하게 나타났다. 더 나아가 예비 초등교사의 역할정체감 척도에 대한 타당성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한 구인타당도, 하위요인별 상호상관분석에 의한 수렴 및 변별타당도, 교사역할인식 척도와 교사직무수행능력 척도와의 상관분석에 의한 준거-관련 타당도, 초등교사 준거집단을 대상으로 교차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 초등교사의 역할정체감 척도는 세 요인구조가 일반화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표본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척도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그러므로 예비 초등교사의 역할정체감 척도에 의해 교대생의 초등교사 역할 준비도를 수준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role identity scale for pre-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research collected preliminary data from 283 education college students`s responses for item and scale quality analyses, and collected 539 education college students`s for item and scale quality analyses, and 244 elementary teachers`s responses for validation.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item qua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ole identity scale of pre-elementary school teacher was defined by 3 factors. The 3 factors were ‘role performance’, ‘role recognition’, ‘role confusion’.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ree sub-scales in the role identity scale for pre-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result of item quality analysis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items had reasonably good discrimination and location indice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was also obtaine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ub-scales in the two scales. Criterion-related validity evidence was obtaine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as the criterion measures. Cross validity evidence was obtained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elementary teach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