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84.237
18.118.184.237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일반 : 육군병사들이 지각하는 분노유발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ger Arousing Factor s of the Army Servicemen
정병삼 ( Byongsam Jung ) , 연문희 ( Moonhee Yon )
상담학연구 6권 3호 729-744(16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136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육군 병사들이 지각하는 분노유발요인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육군 병사들이 지각하는 분노유발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분노유발요인이 분노에 미 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첫 단계에서는 120명의 병사들에게 분노를 유발하는 요인이나 상황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모두 1200개의 문항을 추출했다. 이후 문항들에 대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평정을 실시하여 86문항의 예비 질문지를 개발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예비연구로서 예 비 질문지를 200명의 병사들에게 실시하여 회수된 결과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세 번째 단계에 서는 본 연구로서 420명의 병사들에게 본 질문지와 분노검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결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첫째, 분노유발요인으로서 부당함, 제지 및 욕구충족 좌절, 외부공격, 스트레스, 혐오자극 등 5개 요인이 추출 되었다. 둘째, 다섯 개의 하위요인들은 모두 분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해서 고찰해볼 때 병사들이 분노유발요인의 구조는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하 위요인 가운데 부당함에 대한 지각이 분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놓고 볼 때 병사들을 위한 분노조절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nger arousing factors perceived by army servicemen and the impact of the factors on anger. The research procedures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were as follows: The main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420 army servicemen belonging to 3 different divisions. Th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in statistics program SPSS 11.0.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latent factors composing the anger arousing factor were five constituents: injustice, restraint and frustration of need satisfaction, attack from outside, stress, and aversive stimulus.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nce generated from the five latent factors was 64.24%. Five experts on counseling psychology(2 doctor, 3 doctoral stude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five latent factors and 39 items into 3-point scale; excellent, good, bad and none of the items got a bad grade. Second, all of the five latent factor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anger perceived by army servicemen. The regression model composed by the five latent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anger scale point as dependent variable was found significant(F = 7.696, p < .001) and explained 17% of the variance of anger scale in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five constructs, injustice served as the biggest independent variable to predict ange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