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228.35
18.217.228.35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청소년 상담 : 청소년의 학교 급별(초, 중, 고)에 따른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적응 간의 구조모형 분석
Analys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on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djustment by School Class
신혜정 ( Hye Jeong Shin ) , 서영석 ( Young Seok Seo )
상담학연구 7권 1호 117-130(14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186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적응행동 간의 구조모형을 학교 급별(초·중·고)에 따라 설정하여 각 변인들의 직ㆍ간접 효과를 구명하였고, 자기효능감이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467명(초 144명, 중 161명, 고 16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적응행동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 급별 구조모형 역시 자료에 부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학교 급별에 상관없이 청소년의 적응행동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직ㆍ간접 효과는 학교 급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우선,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친구지지만이 적응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하였고, 친구지지와 부모지지가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중학생의 경우에는 부모지지만이 적응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하였고, 친구지지와 교사지지가 자기효능감을 통해 적응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친구지지와 부모지지가 적응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하였고, 부모지지만이 자기효능감을 통해 적응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적응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활동 및 생활지도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itnes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djustment perceived by school-aged adolescents. In so doing,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were identified so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were investigated. Four-hundred sixty seven adolescents(144 elementary, 161 junior-high, 162 senior-high) participated in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hree research variable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djust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nd that self-efficacy was found to account for the variance of students` adjustment the most, regardless of the age of students. In addition, each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found to fit the corresponding data collected, and self-efficacy mediat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adjustment. However,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varied according to students` age.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ly peer support had direct effects on their adjustment, and peer support and parental support had indirect effects on it through self-efficacy. In case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only parental support had direct effects on their adjustment, and support from their peers and parents had indirect effects on it through self-efficacy. Finally, in case of senior-high school students, peer support and parental support had direct effects on their adjustment, and only parental support had indirect effects on it through self-efficac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ounseling and guidance issues with adolescen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