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1.13.194
3.131.13.194
close menu
KCI 등재
학교 상담 : 시험불안, 동기적 성취 전략 및 학업적 유능감의 관계모형 검증
How Test Anxiety Relates to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Testing Mediator Effects of Motivational Achievement Strategies
류정희 ( Jeong Hee Lyu ) , 신현숙 ( Hyeon Sook Shin )
상담학연구 7권 1호 147-164(18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188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는 시험불안, 동기적 성취전략(비관적 방어 전략, 자기-손상 전략), 학업적 유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시험불안과 학업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비관적 방어 전략과 자기-손상 전략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검사, 비관적 방어 전략 척도, 자기-손상 전략 척도, 학업적 자아개념 척도, 학업적 통제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Sobel 검증 중 Goodman(Ⅰ) 방정식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험불안을 예언변수로, 비관적 방어 전략을 매개변수로, 학업적 유능감을 결과변수로 설정한 모형 가운데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경험적 자료에 더욱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부분매개모형에서 「시험불안 → 비관적 방어 전략」, 「비관적 방어 전략 → 학업적 유능감」, 「시험불안 → 학업적 유능감」의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시험불안과 학업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비관적 방어 전략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시험불안을 예언변수로, 자기-손상 전략을 매개변수로, 학업적 유능감을 결과변수로 설정한 모형가운데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경험적 자료에 더욱 적합한 모형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부분매개모형에서 「시험불안 → 자기-손상 전략」, 「자기-손상 전략 → 학업적 유능감」, 「시험불안 → 학업적 유능감」의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하였다. 여섯째, 시험불안과 학업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손상 전략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시험불안이 높거나 학업적 유능감이 낮은 학생을 이해하고 개입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이 연구의 결과가 던지는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 of test anxiety, motivational achievement strategies (i.e., defensive pessimism strategy,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and to test the mediator effects of motivational achievement strategies in the relation between test anxiety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Test Anxiety Inventory, Revised Defensive Pessimism Questionnaire, Self-Handicapping Scale,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Ⅱ, and Academic Locus of Control Scale were administered to 422 tenth graders. Correlational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the models with test anxiety as predictor, defensive pessimism strategy as mediator,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as outcome variable,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Second,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path coefficients of 「test anxiety → defensive pessimism」, 「defensive pessimism → academic competence」, and 「test anxiety → academic competence」were all significant. Third, the mediator effect of defensive pessimism strategy in the relation between test anxiety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was significant. Fourth, of the models with test anxiety as predictor, self-handicapping strategy as mediator,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as outcome variable, the parti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Fifth, i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path coefficients of 「test anxiety → self-handicapping strategy」, 「self-handicapping strategy → academic competence」, and 「test anxiety → academic competence」were all significant. Sixth, the mediator effect of self-handicapping strategy in the relation between test anxiety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motivational achievement strategies mediates the link between test anxiety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ing with students experiencing test anxiety and low academic competence were offer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