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36.10
3.145.36.10
close menu
KCI 등재
생도생활적응검사 표준화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Cadet Adjustment Questionnaire
김광은 ( Kwnang Un Kim ) , 윤유경 ( You Kyung Yoon )
상담학연구 7권 4호 955-967(13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235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도들의 생활적응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표준화된 적응 검사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는 예비 문항을 만들고 이 문항들에 대한 예비조사를 통해 개발된 검사의 요인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문항 개발은 1998년에 제작된 ``생도생활 적응척도``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들의 경험과 선행연구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졌고, 예비조사에는 145 명의 생도가 참여하였다. 조사 결과, ``생도생활``, ``대인관계 및 심리``, ``학업``의 세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 세 요인에 타당성척도를 포함하여 총 76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예비 검사를 만들었다. 두 번째 연구는 개발된 검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는 285명의 생도 가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검사의 신뢰도는 요인별 내적합치도가 .80~.91로 재검사신뢰도는 .72~.78로 나타났고 타당도는 논리적 타당도외에 공존타당도 면에서 관련 준거들과 유의미한 상관 을 나타냈다. 이러한 검증을 토대로 백분위와 T점수로 환산할 수 있는 규준을 작성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도생활적응검사``의 특징과 본 연구가 갖고 있는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ized adjustment questionnaire to diagnose the state of cadets` adaptation. Two studies are carried out for this purpose. The first study is to develop the survey items and to search for the construct of contents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The items are developed on the basis of former studies, researchers` experiences, and the Cadets Adjustment to Academy(CAA), which was developed in 1998. The study was done on 145 cadets. As the results, three factors of ``cadet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tendency``, and ``academic life`` are extracted. These three factors and the validity scale form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composed of 76 items. The second study 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95 cade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reliability of .80~.91 in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reliability of .7 2~.78 in the retest. It shows the questionnaire has logical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has significant co-relations with the sub factors of the questionnaire and related criterions. Through this verification process, a norm is set to transform raw scores into the percentile scale and T scores.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det Adjustment Questionnaire``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