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47.118
3.145.47.118
close menu
KCI 등재
수퍼바이지 수치심과 수퍼비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작업동맹 및 자기개방의 매개효과 검증
Mediating Effect of Working-Alliance and Self-Disclosure in Supervision in the Relationship of Supervisee`s Sham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강지연 ( Ji Yun Kang ) , 유성경 ( Sung Kyung Yoo )
상담학연구 7권 4호 1005-1021(17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238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수퍼바이지의 수치심의 정도가 수퍼비전 과정에서 일어나는 작업동맹 및 자기개방을 매 개로 하여 수퍼비전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국내에서 상담을 진행하고 수퍼비전을 받고있는 상담자 151명이었다. 수퍼비전을 구성하는 변인들 중 수퍼바이지의 개인적 변인인 수치심, 과정변인인 작업동맹과 자기개방, 성과변인인 만족도를 중 심으로 변인간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예상한 대로 작업동맹과 자기개방이 수치심이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며, 특히 작업동맹의 매개효과가 가 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대해 요약하고, 수퍼비전 실제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 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ing-alliance and self-disclosure in the relationship of supervisee`s sham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Research participants were 151 counselors who have had a real supervision session and they were requir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right after the supervision session. We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o test the research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model was a validated model indicating significant effects of working-alliance and self-disclosure in supervision in the relationship of supervisee`s sham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The supervisee`s self-disclosur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pervision satisfaction only when the effect of working-alliance was controlled. We made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supervision practi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