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4.230
3.149.234.230
close menu
KCI 등재
새터민의 적응유연성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a Resilience Scale for Dislocate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김현아 ( Hyun Ah Kim ) , 김성회 ( Seong Hoi Kim )
상담학연구 8권 1호 63-83(21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258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에 정착하여 살고 있는 즉, 새터민의 적응유연성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새 터민의 적응유연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기존도구의 고찰을 통해 새터민 적응유연성의 구성 요소를 알아보았고, 심각한 외상과 문화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적응상의 문제 (정신병리, 일탈, 장기실업)를 일으키지 않으며 적응유연하다고 판단된 새터민 10명을 대상으로 직접 면담을 한 후 적응유연성의 특성을 드러내는 문항을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새터민 심리 전문가 5명을 선정하여 내용타당도 를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115문항으로 예비척도를 구성한 후 요인분석을 통하여 요인 및 신뢰도와 타당도를 밝히려고 하였다. 요인분석, 반분신뢰도를 위한 연구대상은 새터민 282명(하나원 교육생 159명, 하나원 수료 후 남한거주 새터민 123명)이었고, 3주 간격으로 실시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위한 연구대상은 예비조사 대상자 중 102명(하나원 교육생 45명, 하나원 수료 후 남한거주 새터민 5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새터민의 적응유연 성 척도는 42문항의 7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요인 1은 강인성, 요인 2는 종교성향, 요인 3은 친밀감, 요인 4는 사 회적 지지, 요인 5는 꿈과 목표, 요인 6은 실존적 영성, 요인 7은 인내심이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요인 1의 고유 값은 9.77, 설명변량은 23.26%였다. 요인 2의 고유값은 4.53, 설명변량은 10.78%였으며 요인 3은 3.92 설명변량은 9.33%였다. 요인 4는 고유값 2.96, 설명변량 7.06%였으며 요인 5는 고유값 1.95, 설명변량 4.66%였다. 요인 6은 고 유값 1.47, 설명변량 3.50%였으며 요인 7은 고유값 1.32, 설명변량 3.16%로 전체 변량의 61.78%를 설명하였다. 적 응유연성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0이었고 요인 1은 Cronbach의 α계수가 .87, 요인 2는 .92, 요인 3은 .87, 요인 4 는 .85, 요인 5는 .86, 요인 6은 .80, 요인 7은 .79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활용방안, 연구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silience scale for Saeteomin in South Korea. The word Saeteomin is used to refer to a North Korean defector who has resettled in South Korea. Resilience is defined as intrapersonal traits, coping actions (or person-environment interaction) and protective factors of a person who does not make important adjustment problems(mental disorder, deviation behavior, a long-term unemployment), but functions on a normal level in spite of the experience of trauma or cultural convulsion. This study involved two separate phases. Phase one was to develop a resilience scale, consisting of three steps. First, 135 resilience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resilient Saeteomins. The items in the scale were selected from Connor and Davidson (2003)`s Resilience Scale(CD-RISC) and open-ended questions from interviews with 10 resilient Saeteomins. Secon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5 experts rated those items and eliminated 20 items based on the judgements of clinical psychologist, counseling psychologist and social psychologist. Third, the scale consisting of 115 items was administered to samples of 282 Saeteomins and 73 items were eliminated based on item-scal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Finally, items of the scale were reduced to 42 items. Phase two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ilience scale, consisting of three steps. First, to examine the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s of 282 Saeteomins(159 Saeteomins in the Hanawon, that is settlement support office for dislocated North Koreans and 123 Saeteomin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of the Hanawon). Pearson`s coefficient of correlation, Cronbach`s α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even factors such as ``hardiness``, ``religious trait``, ``intimacy``, ``social support``, ``dream and goal``, ``existential spirituality``, and ``endurance`` were extracted. Second, to verify internal consistency and odd-even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282 Saeteomins. The result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α = .90) and odd-even reliability(r = .89). Third, to verify test-retest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02 Saeteomins. The instrument showed high test-retest reliability(r = .88) at an interval of 3 weeks. In conclusion, this instrument demonstrates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resilience for resettlers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