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52.251
18.117.152.251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의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민감성, 부모 애착 및 또래관계
The Relationship of the Sensitivity to Nonverbal Behaviors, the Child’s Perceived Attachment to Their Parent and the Peer-Relationship
이지연 ( Jee Yon Lee )
상담학연구 8권 1호 85-100(16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259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는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민감성과 아동이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 그리고 또래관계 간의 관 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민감성을 얼굴 표정 변별능력으로 측정 하여 기본적으로 표정변별능력, 애착, 또래관계가 어떤 관계가 있는 지, 얼굴 표정 변별 능력에 성 별 차이가 있는 지를 초등학교 5,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남아보다는 여아가 표정 변별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정변별능력, 애착, 또래관계 사이의 관계는 어머니와의 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아동의 표정변별능력이 좋고 또래지명 또한 높다. 그러나 아버지와의 애착은 아동의 표정변별과 또래지명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정 변별이 또래지명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표정변별을 잘 할수록 또래지명 이 좋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외국 연구에서 나타난 성별 차이를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 검증해 보고, 애착, 또래관계, 표정변별 능력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sensitivity to nonverbal behaviors, the children`s perceived attachment to father and mother and the pee-relationship.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696 boys and girls, fifth and sixth-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ensitivity to nonverbal behavior was examined to distinguish different facial expressions. The ability to distinguish facial expressions was measured by showing them twenty-four pictures. Each picture shows a face expressing one of the six basic emotionshappiness, sadness, disgust, surprise, fear and ang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could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distinguish facial expressions between the girl group and boys` group. The girl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ly accurate in distinguishing the facial expressions than the boys` group. Secondly, a child`s perceived attachment to his/her moth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ability to differentiate facial expressions and the peer-relationship. The child`s ability to distinguish facial expressions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his/her peer-relationship. But a child`s perceived attachment to his/her father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his/her ability to distinguish facial expressions and the peer-relationship.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