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38.44
18.117.138.44
close menu
KCI 등재
편집성향집단의 애착, 우울 및 역기능적 대인관계
Attachment,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 Group with Paranoid Tendency
정화숙 ( Hwa Suk Jung ) , 장문선 ( Mun Seon Chang )
상담학연구 8권 1호 147-160(14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263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편집성향집단의 애착, 우울 및 역기능적 대인관계와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기 위 해 첫째, 편집성향집단과 비편집집단간의 애착유형 분포를 비교해 보고 둘째, 대인관계 변인을 요인 분석을 통해 외현적·경계적 문제로 구분한 후 애착, 우울 및 편집증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셋 째, 애착, 우울 및 편집증 간의 가설적 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검토해 보고 넷째, 편집성향집단의 외현적·경계적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애착, 우울의 영향력을 경로분석을 통해 비편집집단과 비교 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집성향집단은 비편집집단에 비해 애착유형에서 몰입형 과 두려움형이더 많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편집증상은 애착-불안, 애착-의존과 높은 상관을 보였고, 우울, 외현적·경계적 대인관계문제와도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애착, 우울이 편집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애착은 편집증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우 울의 매개작용을 거친 간접적 영향 또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편집성향집단과 비편집집단 각각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편집성향집단의 경우 외현적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는 애착이 우울을 거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고 애착과 외현적 대인관계문제의 직접적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경계적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는 우울을 거친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애착과 대인관계문 제의 직접적 경로만이 유의하였다. 한편, 비편집집단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애착이 외현적·경계적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계적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는 애착이 우울의 매개작용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반면, 외현적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는 우 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편집성향집단의 경로분석 결과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the relevance among attachment,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 group with paranoid tendency,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followings: First, in the respect of the distributions of attachment types, it has compared the group with paranoid tendency and that without it. Second, it has divided variation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to guarded and frank problems through a factor analysis, and examined those related attachment, depression, and paranoid symptoms. Third, it has examined a hypothetical relation among attachment, depression, and paranoia through a path analysis. Fourth, it has compared the above two groups in the respect of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d depression on guarded and frank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a path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with the group without paranoid tendency, the group with it is found to show rather a meaningful level of preoccupied and fearful types of attachment. Second, as a result of a co-relation analysis, paranoid symptoms show a high level of the relevance in attachment-anxiety, attachmentdependence, depression, and guarded and frank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through a path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d depression on paranoid symptom, it has found that attachment has a direct impact on paranoid symptom or an indirect impact on them by way of the intermediation of depression. Fourth, a path analysis of the above two groups show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two groups as follows. As for the group with paranoid tendency, attachment followed by depression has influence on the frank interpersonal problems. However, attachment not followed by depression has no direct influence on them. In the matter of the guarded interpersonal problems, attachment followed by depression has no influence. However, attachment not followed by depression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m.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group without paranoid tendency, a path analysis shows that attachment has a direct influence on both guarded and frank international problems. While attachment by way of intermediation of depression has a indirect influence on the guarded interpersonal problems, there is no effect of intermediation of depression on the frank interpersonal problem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