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44.44
3.144.244.44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 전환기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ild`s Perception of Family Strengthens and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on Behavior Problems in Adolescent Transition
양명숙 ( Myong Suk Yang ) , 한영숙 ( Young Sook Han )
상담학연구 8권 1호 351-363(13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274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전환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고학년인 5학년과 6학년 아동들이 지각한 가족 의 건강성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행동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5학년 아동 111명, 6학년 아동 104명으로 총 21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주요 통계분석방법으로는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전환기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부모의 양육 태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 건강성과 아동의 행동문제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행동문제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건강성과 아동의 행동문제에서는, 가족의 건강성 하위요인인 가족원간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모두 아동의 행동문제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족의 의사소통 기술 부족 및 의사소통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이 행동문제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특히 청소년 전환기의 시기에 접어드는 초등학교 5, 6학년의 자녀를 둔 가족에서 는 곧 청소년기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모-자녀의 갈등에 대비하여 효과적인 의사 소통을 기반으로 새로운 역할 조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dolescent transition children`s perception of family strengths,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s were 215 children of fifth and sixth grader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family strengths,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Korean Youth Self-Report.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became high when family strengths were high. And th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became low when family strengths and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became high. Second, the communication, a factor of variables of family strengths, had greatest influence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all of father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were influential on behavior problems as wel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we have believed that th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have tightly been related with the anti-functional communication due to the lack of family communication technique and the improper usage of the family communica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dolescent transition children`s problems, the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re important. The result has implied that it has been required to arrange a new role based on an effective communication to especially the family that has the adolescent transition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the conflict that might be caused between parent and their children at the process of the adolescent transition perio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