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186.164
18.216.186.164
close menu
KCI 등재
정서성 및 성격적 특성과 가족 탄력성의 관계
Relationship of Emotionality and Personality Trait with Family Resilience
김미경 ( Mi Kyung Kim ) , 김성현 ( Sung Hyun Kim ) , 김성회 ( Seong Hoi Kim )
상담학연구 8권 1호 395-409(15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277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가족 탄력성은 가족 구성원들이 가족단위로서 스트레스에 적응하고 역경으로부터 회복하는 능력이 다. 예전보다 가족문제가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가족 탄력성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가 족의 문제나 실패, 부족한 점에 초점을 두는 시각에서 벗어나 가족이 갖는 강점, 성공, 활용 가능한 자원 등에 중점을 두는 가족 탄력성은 상담과 교육 장면에 있어서 많은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성 및 성격적 특성(내외통제성)이 가족 탄력성에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 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J시 G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48명과 전라 남도 S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115명으로 남녀 대학생 총 263명이었다. 조사에서는 사회인구학적 배경, 정서성 및 내외통제성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와 문항이 사용되었다.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탄력성은 부교육수준, 가정형태, 종교, 생활수준, 정서성, 성격적 특성(내 외통제성)과 유의한 관련성을 가진 반면, 성, 학력, 모교육수준과는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지 않았다. 둘째, 정서성 변인에서는 긍정적 정서가 가족 탄력성과 의의 있는 관련성을 가졌다. 셋째, 성격적 특성(내외통제성)변인은 가족 탄력성과 의의 있는 관련성을 가졌다. 넷째, 가족 탄력성에 대한 정서 성변인과 성격적 특성(내외통제성)변인의 고유설명량을 비교한 결과 정서성변인이 성격적 특성보다 더 큰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들이 갖는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 하였다.

Family resilience is an ability for family member to recovery stress and adversity as family unit. Family resilience is more important because family problems are more various than before. Particularly, family resilience which doesn`t focus on family problem, failure and weakness but take the focus strength of family, success, and resource available implies possibility in counselling and education sections. At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lationships of emotionality and personality trait with family resilience. The objects of study are 263 university students who consist of 148 students in G university in J city, Gyeongnam and 115 students in S university in S city, Jeonnam. We used the standards and questions used in research so as to find out the background of the society demography, emotionality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The result through the study is as follow. First, family resilience out of society demography variabl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s to father-education level, family form, religion, the standard of living, emotionality,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except sex, student-education level, and mother-education level. Second, positive emotion is significant relationships to family resilience. Third, personality trait variable is not relationship to family resilience.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which compared with emotionality, and personality trait variable indicated that emotionality variable had more explanation than personality trait, we discussed the suggestion and restriction about this study resul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