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15
18.118.2.15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일반 :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 조절과정 분석 -과다사용 변화집단과 지속집단의 체험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 College Students` Internet Overuse Regulation Process Through Experience Comparison Between Over-Users and Recovered Students
임은미 ( Eun Mi Lim ) , 박승민 ( Seung Min Park ) , 장선숙 ( Seon Suk Jang )
상담학연구 8권 3호 819-838(20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303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인터넷을 과다사용하는 대학생들의 인터넷 사용 조절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77명의 남녀 대학생에게 3개월여 간격을 두고 성인 인터넷 중독 척도인 A-척도를 실시하고, 그 결과 과다사용자군에서 일반사용자군으로 변화된 대학생 20명과 과다사용 상태가 지속되는 대학 생 8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을 실시하였다. 과다사용자에서 일반사용자로 변화된 대학생 20명 중에 는 「대학생을 위한 인터넷 중독 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학생 11명과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대학생 9명이 포함되어 있다. 면접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이 인터넷에 과도하게 몰두하는데 수반되는 사전요인과 배경요인, 인터넷 과다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과다사용 지속요인과 치료적 요인, 그리고 과다사용 지속과 탈중독에 따르는 심리적 경험내용을 밝힐 수 있었다. 사전요인, 배경요인, 인터넷 과다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면에서 변화된 집단의 대학생들과 과다사용상태가 지속되는 대학생들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변화된 대학생들은 변화를 자극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대상이나 지지처를 치료적 요인으로 가지고 있었고, 스스로 강한 의지와 목표의식을 가지면서 인터넷의 역기능이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수용하였으며, 자기각성, 자기조절의지 확인, 대안행동의 모색, 재발요인 예측, 환경적 지지를 추구하는 가운데 대체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안정화시켜 나간다는 점에서 과다사용 지속집단의 대학생들과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Korean college students` internet use regula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20 students who recovered from internet over-use and 8 students who were still in over-use condition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among 277 college students in Korea. Interview data was analysed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Strauss & Corbin, 199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5 factors in the participants` regulation process; the pre-factors, the background factors, and internet addiction stage, addiction maintenance factors or curable factors, and no recovered state or recovering from internet addiction. Seco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recovered group and no recovered group in the addiction maintenance factors or curable factors, and no recovered state or recovering from internet addiction. The students in the recovered group had supporters who stimulated the change, monitored their internet overuse, and supported their emotions or motivated them. Also, they were positive, had clear goals, and accepted the negative influences of internet addiction. In addition, they had high self-awareness about their own internet overusing behavior, and assured self-regulated internet using behavior, predicted the relapse factors, and prepared alternative behaviors, and sought the supportive environmental resour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