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54.171
3.17.154.171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일반 : 새터민 조력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North Korean Refugee`s Helper in South Korea
윤여상 ( Yeo Sang Yoon ) , 김현아 ( Hyun Ah Kim ) , 한유미 ( Yu Mi Han )
상담학연구 8권 3호 877-898(22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306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고 있는 새터민들의 남한사회 정착 지원을 돕고 있는 조력자들의 소진 정도와 소진과 상관 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Maslach와 Jackson(1981)의 신체적 소진, 정서적 소진, 비인간화, 성취감 감소 4 개 요인으로 구성된 소진척도를 사용하였고, 소진과 상관이 있는 요인으로는 조력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자아 탄력성 요인, 새터민 특성 요인, 조직특성 요인, 전문직 문화 요인, 지역사회 요인, 수퍼비전 요인을 포함하였다. 연구대상은 통일부 정착지원팀, 하나원, 그리고 정부 3개 정착지원 담당관(신변보호담당관, 거주지보호담당관, 취업보호담당자)과 대안학교, 전문 상담기관, 종교단체 등의 종사자를 포함한 총 174명이었다. 통계처리는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따른 소진수준의 집단간 t-검정 및 분산분석과 Spearman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새터민 조력자의 소진 평균은 2.85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고, 이러한 특성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력에 따라 소진 전체, 신체적 소진, 성취감 감소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근무형태에 따라서 전일직 근무자가 비전일직 근무자에 비해 소진 전체, 신체적 소진, 정서적 소진, 비인간화 정 도가 높았다. 수퍼비전 영역에서는 사전 교육 유무에 따라 소진 전체, 비인간화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수퍼비 전 실시의 어려움 유무에 따라 소진 전체, 신체적 소진, 정서적 소진, 비인간화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새터민 조력자의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소진 전체, 신체적 소진, 정서적 소진, 비인간화, 성취감 감소 모두에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 새터민 조력자의 소진정도는 새터민 요인, 조직특성 요인, 전문직 문화 요인, 사전 업무교육 유무, 수퍼비전 실시의 어려움과 정적 상관을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새터민 조력자의 소 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새터민 조력자의 자아탄력성 하위요인 중 낙관적 태도, 수퍼비전 요인 중 사전 업무교육 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연구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uch the workers for North Korean people in South Korea(called as Saeteomin) experience burnout on their job and what factors effect on their burnout. For this purpose, Maslach & Jackson(1981)` Burn-out scale of 4 dimensions of burnout(physical exhaustion,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low personal accomplishment) was used,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factors: the demographic trait, ego-resilience, client trait, organization trait, professional culture, community, supervision.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215 North Korean Refugee`s Helpers including the employees in Ministry of Unification, and NGO, social workers, volunteers etc. Total of 174 respondents returned the usable questionnaire. For the data 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T-test, ANOVA, Spearma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were used.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otal mean of subject`s burnout level was high as 2.85,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mean of burnout, physical exhaustion, low personal accomplishment by educational level. And it reported that the full-time workers experienced the higher level of total burnout, physical exhaustion,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than part-time worker. Second, among the supervision fact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mean of burnout, depersonalization whether to take an education or not before the work/job for client(pre-education). A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burnout, physical exhaustion,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whether to be provided supervision or not at work.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dimensions of burnout and total mean of burnout by the level of resilience. Fourth, the level of overall burno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ient trait factor, organization trait factor, supervision factor,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Fifth, it reported that the factors effect on total burnout are optimistic attitudes among sub-factors of ego-resilience, pre-education among sub-factors of supervision. And the factors effect on physical exhaustion are amount of job, role conflict among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 trait, and optimistic attitudes among sub-factors of ego-resilience.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s of the result,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