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43.184
3.144.243.184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일반 : MMPI, 삶의 질, 경제·신체적 만족도, 일탈 및 취업수준을 통한 새터민 적응유연성 척도의 구인 타당화
The Study of Construct Validity a Resilience Scale from MMPI, Well-being, Economic and Physical Satisfaction, Deviant Behavior, and Employment Level for Dislocate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김현아 ( Hyun Ah Kim ) , 김성회 ( Seong Hoi Kim )
상담학연구 8권 4호 1355-1375(21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333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김현아(2006)가 개발한 새터민의 적응유연성 척도에 대한 구인 타당화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적응유연성 척도의 구인 타당화 검증을 위해 두 단계에 걸쳐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째, 새터민 252명을 대상으로 적응유연성 척도득점과 MMPI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MPI의 Hs, D, Hy, Pd, Pt, Sc, Si와는 부적상관을 Ma와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이를 통해 적응유연성 척도의 구인 타당도를 높였다. 둘째, 194명의 하나원 수료 남한생활 새터민을 대상으로 Campbell(1981)의 삶의 질 척도, 경제 및 신체적 만족도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삶의 질, 경제 및 신체적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이루었다. 또한 하나원 수료 후 남한생활의 적응기준으로서 일탈(일탈집단, 비일탈 집단) 및 취업 수준(취업집단, 장기실업 집단)에 따른 적응유연성의 집단간 차이 검증을 위해 M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탈 및 취업수준에 따른 적응유연성 득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이를 통해 적응수준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적응유연성 척도의 타당도는 비교적 만족스러운 수준이었고 남한에서 생활하고 있는 새터민을 위한 적응유연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타당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활용방안, 연구 의의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a resilience scale for Saeteomin in South Korea. Phase two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ilience scale, consisting of two steps. First,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252 Saeteomins in the Hanawon. For a construct validity, Pearson`s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scale score and MMPI score was performed. As a resul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MMPI Hs(r = -.191, p < .05), D(r = -.350, p < .05), Hy(r = -.193, p < .05), Pd(r = -.211, p < .05), Pt(r = -.226, p < .05), Sc(r = -.217, p < .05), and Si(r = -.367, p < .05),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MPI Ma(r = .169, p < .05)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Second,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91 Saeteomin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of the Hanawon. For a construct validity, Pearson`s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scale score and Campbell(1981)`s subjective well-being, economic and physical satisfaction was performed.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r = .496, p < .05) with Campbell`s subjective well-being, economic satisfaction(r = .276, p < .05) and physical satisfaction(r = .205, p < .05). For a construct validity, data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deviant level(deviant behavior group, non-deviant behavior group) and employment level(employment group, long-term unemployment group) and MANOVA for group contrast was performe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ulnerable group and the resilient group. So, the group difference in adjustment level was proved. In conclusion, this instrument demonstrates satisfactory validity.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resilience for re-settlers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