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0.154.41
18.220.154.41
close menu
KCI 등재
士禍期(사화기) 한 詩人(시인)의 孤獨(고독)의 삶과 詩(시) 習齋(습재) 權擘(권벽)의 詩(시)를 對象(대상)으로
A Poet`s Solitary Life and His Poems during the Massacre of Scholars -Focusing on Seup Jae Gwon Byeok`s poems-
김창호 ( Chang Ho Kim )
한문학논집 37권 9-29(21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76842

이 글은 조선 중종~선조 년간에 활동한 權擘(1520~1593)의 시에 나타나는 ``孤獨``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화기에 벗 윤결이 옥사하면서 권벽은 폐쇄적인 내면지향의 삶을 살아간다. 이 같은 태도는 정치현실에서 積薪신의 상태로 이어지고 배척을 받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그렇지만 그는 자신이 구축한 고독의 영역의 안에서 ``시``를 통해 자신의 모든 것을 표 현하고자 했다. 사화 직후의 시들에는 상승의 이미지가 두드러진다. 상승의 이미지를 통해, 폐쇄 적 내면세계로의 방향 전환이, 간험한 정치현실과 거리를 둠으로써 禍를 멀리하고, 정치현실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며, 자신의 고결함을 유지하고자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권벽의 시에는 ``愁``의 정서가 지배적인데, 사화 이후 벗의 죽음으로 인한 감당하기 힘든 충격이나 정치 현실에서의 무력감이 ``수``로 집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경험 단위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표현의 어려움이 음울하고 어둡고 시름겨운 정서(愁)로 응축되었음을 생각할 수 있다. ``愁``의 정서는 일부 작품에서 역 동적인 성격을 가지고 나타나기도 한다. ``愁``는 존재의 불안감과 결합하면서 정치현 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 無望한 현실에서의 체념 비판의 두 가지 방향으로 나타나는 데 후자가 보다 강한 색채를 띤다. 한편 세상의 입장에서 패배자로 보일 수도 있는 그의 입장에서는 항구적 가치를 통해 세계에 대한 대응의 지점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했다. 그는 ``맛없는 술``, ``못생긴 아내``, ``부드러움``, ``어리석음``, ``우졸`` 등 세상의 관점과 상반되는 가치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당장의 효용이나 외양적 화려함이 아니라, 더디고 투박해 보일지라도 내면의 견실함을 바탕으로 한 항구적 가치를 추구했다. 그리고 소소한 일상이나 행위에 유의 함으로써 폐쇄적 삶에서 유희적 즐거움을 느끼며, 일상생활에서 유념할 가치를 점검 하기도 했다. 이처럼 가려져있거나 드러나지 않은 가치에 대한 주목은, 고독의 영역으로 돌아선 자아의 세계에 대한 대응방식이자, 고독의 생활 속에서의 정신적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이해 가능하다. 사화기 한 시인으로서의 권벽은 폐쇄적 내면지향의 고독을 추구했다. 그렇지만 그 자신이 정치현실을 떠나지 않았던 만큼 사유와 정서는 정치현실에 대한 반응의 성격을 가지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런 점에서 한편으로 그의 고독은 혼란한 세상에서의 처세의 성격을 가지는 동시에, 또 다른 형태의 정치 행위적 의미를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spects and the meaning of ``Solitude`` shown in the poems of Gwon-Byeok(1520~1593) who wrote poems from the sovereignty of Jungjong to Seonjo. Gwon Byeok witnessed his friend Yoon Gyeol dead in prison and lived a closed and inner directed life afterwards. Such attitude became the reason of slow success.(積薪) in politics and that he was ostracized by colleagues. However, he tried to tell all the things about him through ``poems`` in the area of solitude that he had built. In the poems right after Massacre of Scholars, image of ascension(上昇) is eminent. Through the image of ascension, he avoided disasters(禍) by detaching himself from politics through being directed to closed inner world, secured distance to see political reality more objectively and maintained his nobility. In his poems, the dominant emotion is anxiety(愁). Shocks that he had because of deaths of his friends in massacre and helplessness in the reality became converged to ``Su``. It seems that the difficulty of concrete and practical expression of experience unit became condensed to gloomy and dark emotion full of worries. On the other hand, he needed to find points of responses to the world through permanent values from his viewpoints, as he may be seen as a los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He paid attention to values opposite to worldly values such as ``blend drink``, ``ugly wife``, ``tenderness``, ``foolishness``, and ``Stupid.`` Through them, he tried to pursue permanent values based on solidity of inner side although it is slow and rough rather than instant utility or external luxury. He felt joy in his closed life by paying attention to trivial everyday routines and behaviors and reviewed values that he should remember and bear in his mind. On the other hand, we need to remember that his solitude had polit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it was how he got along in the world of chao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