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07.96
18.119.107.96
close menu
KCI 등재
1910년대 사진-텍스트의 교호 작용에 대하여 -『매일신보』 게재 사진들과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On the Photography-Text Reciprocal Interaction in the 1910s Based on the Photographs & their Related Texts in the Maeilshinbo
임형택 ( Hyeong Taek Im )
반교어문연구 35권 249-288(40pages)
UCI I410-ECN-0102-2014-700-001498413

사진이 미디어로서 한국 문화의 저변을 형성하기 시작한 때는 한글이 글쓰기의 중심 미디어로 등장한 시기와 맞물린다. 엄밀히 표명하자면 사진이 앞선다. 사진은 회화에서 확립된 3차원 투시도법(원근법)이 기계화한 것으로서,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체계, 즉 감각-지각-인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져왔다. 더욱이 그러한 체계는 동양의 전통과는 사뭇 다른 것이어서, 서양의 회화와 사진에 대한 당대의 반응은 충격과 거부감이 주를 이뤘다. 사진에 대한 유언비어가 난무했고 임오군란 때의 성난 군중은 사진관을 부수기도 했던 것이다. 서양의 미디어 및 문화사에서는 사진의 미디어적 변별점에 대한 논의가 비교적 뚜렷한 시점(始點이자 視點)을 갖고 이뤄질 수 있지만, 한국(동양)에서의 사정은 그렇지 않다. 특히 글쓰기 및 문학사와 관련짓고자 할 경우에는 사정이 더 복잡해진다. 한국의 사진사(寫眞史)는 한문과 한글문의 교체기에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문자 미디어로서 완숙해 있었던 것은 한문이어서 사진과의 미디어적 변별성을 논의하는 데에 적합할 수 있지만, 그 문화 자체가 개화에 소극적이거나 저항적이었으며 퇴로에 놓여 있었던 까닭에 논의의 시작 전부터 한계가 노정된다. 한문 텍스트와 사진을 직접적인 교호 작용으로 분석하기가 곤란한 것이다. 한글문[국문]의 적극적 사용을 주장하였던 이들은 사진의 활용과 확대에도 적극적이었다. 그들은 직접적 견문으로 외부와 타자를 인식하기도 했지만 서책과 사진을 통해서도 간접적인 견문을 확장 및 증해 갔던 것이다. 하지만 한글문자체가 형성기에 놓여 있었던 까닭에 사진이라는 기계-미디어와의 관련 논의를 하고자 할 때 양자의 위상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그러한 난점들에도 불구하고 이 글은 한국 문화ㆍ문학사에서 텍스트와 사진의 교호 작용이 대단히 중요한 논제임을 부정할 수 없는 까닭에 미흡한 대로 논의를 시작해보고자 했다. 사진이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던 대중매체는 『매일신보』이었다. 그에 앞서 간행되었던 민족지들은 자본과 기술력의 한계 때문에 그러지 못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즉 1910년대의 『매일신보』는 한국 문화ㆍ문학사에서 텍스트와 사진의 미디어적 교호 작용의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거의 독보적인 자료원이다. 이 글은 『매일신보』의 사진을 분류하면서 아울러 사진이라는 미디어의 특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진과 텍스트가 교호 작용을 통해 생성해 낸 서사들을 여섯 가지로 대별하였다. 그 결과로 이 글은 문학(사) 연구에 새로운 시각의 도입 내지 추가를 주장하였고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time when photography began to evolve into a form of culture in the field of media coincides with the period of the time that the Korean alphabet began to emerge to the main stream in the art of composition. photography which applied the mechanism of 3 dimensional perspective representation(far and near perspective) adopted from drawings, brought about changes on sense, perception, and cognition of human being; that is, the change of ways that human beings recognize the world and express it. The way of accepting the change in the Eas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West. Unlike the latter, the response of the former to the photography was shock, and it refused roundly. Wild rumors on photography were so rampant that the angry mobs broke down photo studios at the time of the Im-O Military Revolt. In the history of media and culture in the West, the point of distinguishing photography as media can be discussed with comparable starting time(beginning point and viewpoint), but it does not apply to Korea(the East). If one attempts to relate photography to the history of writing and literature, he or she may have harder time to explain it. The reason is why the history of photography in Korea began with the transitional period that Chinese character in writing was replaced to Korean alphabets. It may be possible to discuss on how Chinese text was distinguished from photography because at the time Chinese character was prevalently used as a medium for letter, but the discussion itself could be prevented from the very beginning due to the reason that the atmosphere of the society was very passive to civilization, or even too resistant to be withdrawn. This is why it is difficult to analyze how photography was directly alternated with Chinese text. Those who aggressively insist to use Korean alphabets(Korean text)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 use of photography. While some of them had direct experience on outside and others had expanded knowledge by their second experience on books and photography. However, the use of Korean text was at the beginning stage as a form of media that it was not easy to balance the order of its importance when discussing photography as machine-media. Despite such difficulties, this paper tries to discuss the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text and photography in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because it is believed to be significant in that there are only few attempts to explain the interactions. It was the Maeilshinbo among other mass media that used photography with full implementation. It is believed that ethnic newspapers which was published before the Maeilshinbo could not use photography because of limited capital and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Maeilshinbo in the 1910s will be the most exclusive data to begin discussion on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text and photography to explain the role of media in the history of Korea culture as well a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is dissertation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y as a form of medium, classifying photography published in the Maeilshinbo. This dissertation also will divide into six categories the transcripts produced by the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text and photography.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will suggest different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literature(or the history of literature) along with several implica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