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33.107
18.224.33.107
close menu
KCI 등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성 중재 연구 동향
Trends and Issues in Studies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우리 ( Woo Ri Kim ) , 고혜정 ( Hye Jung Koh )
UCI I410-ECN-0102-2014-300-001646026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성 중재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질적지표 평가기준에 따라 연구의 질을 평가하여 현장적용에 유용한 사회성 중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총 34편의 논문이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선정된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성 중재유형을 살펴본 다음, 각 유형별 연구대상, 유형별 중재특성, 유형별 사회성 하위 영역을 살펴보았다. 또한 Gersten 외(2005)와 Horner 외(2005)의 질적지표의 평가기준에 따라 사회성 중재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중재 연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연구대상 대부분이 경도 지적장애학생이었고, 주로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 중재유형은 신체활동, 치료프로그램, 전환교육, 대인관계훈련, 기타로 분류되었고, 이 중 신체활동을 이용한 사회성 중재가 가장 많았다. 셋째, 각 중재유형별로 연구대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신체활동과 치료프로그램은 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전환교육은 주로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넷째, 각 중재유형별로 중재장소 및 집단크기, 중재기간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재유형별로 목표로 하는 사회성 하위 영역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신체활동은 사회적기술과 사회성숙도 향상에 집중하였고, 전환교육은 사회적응행동 향상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질적지표의 충족도 평가 결과, (준)집단설계연구와 단일대상 연구 중 증거기반 실제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중재연구에 관한 논의와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trends in studies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tud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A total of 34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ere reviewed. This review investigated general features of the studies and types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used in the studies. This review also examined trends in participants, intervention delivery methods, and sub-social skills targeted by the types of intervention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tudies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creasing over time and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social skills intervention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a) physical activities, (b) therapy, (c) transition education, (d) interpersonal skills, (e) others. Third, participants varied by the intervention types. Participants in the studies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rapy were mo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ost participants in the studies of transition education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urth, studies did not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f delivery methods of the interventions. Fifth, sub-social skills targeted varied across the intervention types. While the studies of physical activities focused on improving social behaviors (cooperation, assertion, and self-control) and social maturity, the studies of transition education focused on improving adaptive behaviors. Lastly,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intervention studies, no study met with the criteria of evidence-based practice.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