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54.94
18.118.254.94
close menu
KCI 등재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이영주 ( Young Joo Lee ) , 류진아 ( Jin A Ryu )
상담학연구 14권 4호 2049-2066(18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390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4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학교생활적응척도, 사회적 지지척도, 자아탄력성척도를 사용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 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 각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에 대한 설명력 변화를 살펴본 결과 낙관성, 감정통제, 호기심, 활력성, 친구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 남녀 아동에게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 각 하위요인의 매개효과에 대한 설명력 변화를 살펴본 결과, 남자아동은 낙관성, 감정통제, 활력성, 친구관계, 호기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아동은 낙관성, 호기심, 감정 통제, 친구관계, 활력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 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낙관성이 매우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남자아동에게는 감정통제가 중요한 매개변인이며, 여자아동에게는 호기심이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A questionnaire was executed for this study by a total of 488 student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Gyunggi-do. The methods were the School Adjustment Appraisal Scale, Social Support Appraisal Scale, and Resilience Evaluation Scale for child. For the data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was execut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obel test was executed for the verification of statistical relev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observ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upon children`s perception. the whole self-resilience and the sub-variables all showed the similar mediating effect. Also the result of observing the explanation chang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resilience and each sub-variables were in the orders of optimistic nature, emotion control, curiosity, activity and friend relationship. Second, it was concluded that the whole self-resilience and sub-variables all had a similar mediating effect on both boys and girls by observ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resilience depending on the sex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school adjustment.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explanation change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resilience and each sub-variables, for the boys, they were in orders of optimistic nature, emotion control, activity, friend relationship and curiosity, and for the girls, they were in orders of optimistic nature, curiosity, emotion control, friend relationship and activ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