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54.94
18.118.254.94
close menu
KCI 등재
진로미결정 여대생 집단의 하위유형 연구
The Study on Subtype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Career Indecision
송지은 ( Ji Eun Song ) , 이정윤 ( Jung Yoon Lee )
상담학연구 14권 4호 2107-2123(17pages)
UCI I410-ECN-0102-2014-300-00174393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진로미결정 하위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을 유의하게 구분해주는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여자대학교 및 남녀공학대학교 여대 생 325(결정 166, 미결정 159)명이었으며, 한국 여대생 진로미결정 척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우 울 척도, 부적응적 완벽주의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적응적 완벽주 의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기대 요인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에서 진로결정 정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 다. 둘째, 진로결정 여부에 따라 진로미결정 하위요인의 경험, 일반적 자기효능감, 우울, 부적응적 완벽주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부모의 기대 요인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진로미결정 하위유형으로는 ``전반적인 미결정형``, ``전통적 여성형``, ``동기 부족형``, ``만성적 우유부단형``, ``내적 갈등형``의 5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넷째, 일반적 자기효능감, 우 울, 수행에 대한 의심, 부모의 비난 요인이 각 유형을 구분해 주는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진로미결정을 이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진로문제를 가진 여대생 내 담자를 상담할 때 이들의 특징에 맞는 차별화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btype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career indecision by cluster analysi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775 female college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several scales completely. The subject were sampled from women`s universities and coeducational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Finall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325 subjects (decision 166, indecision 159)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scale, SES (self-efficacy scales),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and FMPS(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areer indecision, 8 factors of The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indecision scale, Self-efficacy, Depression, Unadaptive perfectionism(except ``Parental expectation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except ``Parental expect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 group and career indecision group. Third, by utilizing hierarchical and K-means cluster analysis, total samples were divided into 5 types. Forth, The determinant variables influencing on career indecision type were derived Self-efficacy, Depression, Doubts about action, Parental criticism.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